태양전지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태양전지

0

UNIST 석상일 교수팀, 26.08% 효율 달성…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도 공인

0

[세계는 지금] 英 워릭대 연구진, 금속 할라이드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용 태양전지 개발 시작

80

한국 1등으로 만든 신소재 개발 #태양전지 #신소재 #차세대태양전지

89

■ 신성식 / 성균관대학교 나노공학과 조교수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쉰두 번째 주인공은 성균관대학교 나노공학과의 신성식 조교수이다. 청정에너지 자원 중에서도 차세대 태양전지에 쓰이는 ‘페로브스카이트’가 주목받고 있는 요즘,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해 한국을 넘어 전 세계를 놀라게 한 과학자가 있다. 성균관대학교의 신성식 교수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페로브스카이트층 소재가 빛을 흡수하면 전자와 정공으로 나눠지며 전자수송층과 정공수송층으로 이동하고 전기가 발생하는데, 기존 태양전지에 쓰이던 실리콘 소재보다 간편하고 저렴해 차세대 태양전지의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신성식 교수는 고온 공정이 아닌, 100℃ 이하의 저온 공정 기술을 개발해 공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결함이 없는 산화물 소재를 개발했다. 또한 마의 효율이라 불리던 발전효율 25%를 뛰어넘어 세계 최고 효율를 기록,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재료공학자 #신성식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한국을 1등으로 만든 신소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394&hcd&key=20221227094445196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13

[영상소개]🎥 오직 햇빛으로만 달리는 자동차가 있습니다. 태양전지가 그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탄소배출을 하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 #태양전지 수많은 과학자들이 태양전지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을 향한 경쟁이 한창입니다. 미래의 태양전지는 어떤 모습일까요? 지구를 지켜줄 태양전지의 활약을 기대하며 여러분의 상상력 또한 기대하겠습니다. #2050탄소중립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용으로 제작된 영상입니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youtu.be/qalpGOKkFcE

91

실리콘 태양전지 대체할 주목 신소재 #태양전지 #화학 #신소재

304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고분자 혼합 가교 시스템 도입 수천 번 휘어져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국내 연구진의 공동연구로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태희 교수(한양대학교)와 전일 교수(성균관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고분자 혼합 가교 시스템 기술을 확보하고, 기계적 변형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스스로 성능을 복구하는‘자가치유형(self healing)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86

화학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화학연구원에서는 화학을 이용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차세대 소재연구가 진행 중이다. 투명 전극이 올라가있는 기판을 활용해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공정 과정을 살펴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pqUiHLU6K8g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화학 #화학산업 #신소재 4차 산업의 차세대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394&key=20221125150943860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기후변화 대응 위해 태양광 발전 공급 다각화 필요성 강조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면 전 세계가 전례 없는 속도와 규모로 재생에너지를 도입해야 한다. 태양광 발전은 재생에너지 중 가장 빠르게 발전단가가 하락하고 있는 발전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위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371

암피실린 미세구조로 에너지 재활용과 광추출 효율 향상 항생제 암피실린*과 전도성 고분자* 혼합물을 활용하여 높은 외부양자효율*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국내 연구진이 구현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류승윤 교수(고려대학교, 제1저자 김동현, 이창민 박사과정) 연구팀이 항생제 기반 미세구조 합성을 통해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