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퍼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크리스퍼

77

인류는 살면서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며 살아간다. 선천성 질병, 후천성 난치병, 불치병 등은 우리 몸의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에 인류는 1974년부터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치료를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2000년, 유전자 가위가 세상에 등장했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 가위란 무엇일까?

59

유전자 가위 기술은 생산량을 증대시킨 농산물부터 동물 치료, 전염병, 나아가 암과 유전자 치료까지 생명공학의 모든 분야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어 생명공학 만능 도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전자 가위란 도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해왔으며 왔을까요?

344

CRISPR-Cas 시스템 이용한 보다 정교한 유전자 조작에 응용 기대 인간과 박테리아, 바이러스는 끊임없는 생존 전쟁을 치르며 고유의 면역체계를 발전시켜왔습니다. 박테리아의 방어막을 뚫고 공격하는 바이러스의 면역회피 시스템과 이를 무력화 시키는 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국내연구진이 새롭게 밝혀, 인간 유전자 편집 기술에도 응용이 기대됩니다.

0

미국 연구진이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를 처음으로 파충류에게 적용해 온몸이 흰 집게 손가락 크기의 알비노 도마뱀을 만들어냈다. 유전자 과학의 혁명을 가져온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은 쥐와 식물, 인간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생식 방법에 차이가 있는 파충류에까지 확장하지는 못했다.

0

1980년대 초 미국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던 특이한 환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5명의 남자였는데 동성애자들이었고 원인불명의 폐렴을 앓고 있었다. 미국 의료계가 당황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인을 밝혀낸 곳은 프랑스였다.

0

적대적인 침입자에 대한 최선의 방어책이 휴면을 취하는 것이라고 하면 당연히 의구심을 품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이 전략은 적어도 박테리아에게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테리아 하나가 휴면상태에 들어가 자신을 ‘희생하면’ 전체 공동체에게 이득이 되는 것이다.

0

제니퍼 다우드나 UC 버클리 교수와 엠마뉴엘 샤펜티어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2012년 ‘사이언스’지 8월호에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1세기 생명과학 분야 최고의 발명으로 꼽히는 ‘크리스퍼 카스9’ 기술을 발견한 것이다.

2608

영상 편집기처럼 DNA를 정확히 자르고 붙일 수 있는 방법으로, 동식물 유전자에 결합해서 특정 DNA 부위를 자르는 데 사용하는 인공 효소를 말한다

1816

생명의 가장 기본 단위인 유전자 염기서열을 잘라내거나 붙일 수 있는 기술로서 인간 세포와 동식물 세포의 유전자를 교정하는 데 사용된다.

1135

D 바이오 프린터는 올해 국내 10대 기계 기술에 선정될 만큼 주목받는 기계인데요, 3D 바이오 프린터는 세포를 프린트하는 기계입니다. 이 프린터에 금속이나 필라멘트 대신 바이오잉크라는 것을 넣어 줍니다. 이 바이오잉크는 하이드로겔 등 몸에 들어가도 해가 없는 물질에 실제 사람 세포를 섞어서 만든 잉크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