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크

0

국내 연구진, 세계 최고 민감도의 암흑물질 탐색실험 본격 시작

230

[과학 인물 톡] 생존해 있었다면 우리나라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을 한 명의 과학자, 이휘소 박사. 그는 ‘게이지 이론의 재규격화’와 ‘참(Charm) 입자’ 연구로 10명의 노벨상 수상자에게 영향을 줬으며 인용 횟수가 1만 3,400회가 넘는 논문만 60여 편으로 세계 물리학계를 선도했다. 한국이 낳은 천재 물리학자 故이휘소 박사의 이야기를 만나본다! [핫이슈 톡] 2022 이그노벨상 소식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이휘소박사 #게이지이론 #쿼크 #물리학 #노벨물리학상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박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89&s_hcd&key=20221004112649339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19세기 아일랜드의 소설가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피네간의 경야(Finnegans Wake)’ 12장 신부선(新婦船)과 갈매기를 살펴보면 ‘마크 씨에게 세 쿼크를!’ 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에서 쿼크(quark)는 야드 파운드 법과 미국 단위계에서 대략 1리터에 해당하는 액체의 단위인 쿼트를 변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00

가장 작은 소립자를 이야기 한다. 여기서 바닥 쿼크는 제3세대의 쿼크인데 질량이 양성자보다 크고 쿼크들 중에서도 두 번째로 무겁다.

0

원숭이의 해로 상징되는 2016년이 저물고 새벽을 알리는 닭의 해가 밝아졌다. 지난해는 말도 많고 어수선한 한해였다. 최순실 사건으로 국정 자체를 흔드는 사건이 일어났고 그 여파가 아직은 우리나라를 뒤흔들고 있다. 과학적으로도 여러 면에서 많은 사건들이 있었던 한해였다.

2026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물질 요소로, 주로 입자물리학에서 기본입자 또는 소립자(小粒子)라고 한다.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물질 요소로, 주로 입자물리학에서 기본입자 또는...

0

이 세상의 모든 물질은 쿼크와 렙톤(quark and lepton)으로 되어있다는 것이 현재로서는 물리학이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우주의 구성요소이다. 그런데 렙톤 가운데서 전자는 우리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전자 제품 없이는 하루도 살지...

0

고대 희랍시대로부터 이 우주를 이루고 있는 물질은 그 기본이 입자라고 생각해왔다. 현대 입자물리학에 의하면 이 우주의 물질들은 원자의 모임이고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고, 원자핵은 다시 ‘쿼크(Quark)’라는 더 작은 입자들을 ‘글루온(Gluon)’이란 힘의 입자가 묶어주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1787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소립자가 갖는 스트레인지니스라는 양자수를 도입하고 나카노-니시지마-겔만의 규칙을 발견했다.

1551

자연계에 작용하는 4가지 기본적인 상호작용 가운데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