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펫은 스위칭을 도와주는 소자로
노벨 물리학 연구팀이 스위칭 기술을 이미 개발한 상태였지만
전력 소비가 크고 제조도 까다로워 고집적화, 대량 양산에 한계가 있었다.
강대원 박사가 개발한 모스펫 기술은
적은 전력으로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대부분 반도체의 기초 소자로 활용되고 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6VjoPTwPkX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모스펫 #반도체 #컴퓨터 #스위칭기술 #강대원
집채만 한 컴퓨터의 크기를 줄여준 모스펫 기술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1185&key=20221111155938482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융합 연구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는 무엇일까?
바로 우리 일상 속 빼놓을 수 없는 '스마트폰'이다.
MIT 미디어연구소 소장인 네그로폰테는
이미 1970년에 스마트폰 미래 기술을 예측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h4u9lMfqd9g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융합연구 #스마트폰 #컴퓨터 #로봇
융합 연구로 탄생한 스마트폰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0085&key=20220722162641669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C언어, JAVA, 파이썬의 특징과 프로그래밍 언어별 차이, 코드 구현에 대해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을 대표하는 4차 산업을 위한 미래 인재 양성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 교육과 AI 교육을 토대로 컴퓨터와 관련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즉, 컴퓨터공학 분야가 아니더라도 프로그래밍 언어 하나쯤은 알아두는 것이 필수인 시대가 됐다.
미국과 중국은 양자 컴퓨터 개발 기술에 매년 조 단위의 투자를 한다.
우리나라의 양자 기술은 어느 정도에 도달했을까?
우리나라 최초의 초전도 회로 기반 양자 컴퓨터를 개발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그 답을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Azz3jftZZCA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양자컴퓨터 #양자 #양자기술 #컴퓨터 #YTN사이언스
우리나라의 양자 기술은 어느 정도?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429151854244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인류가 직면한 난제들을 손쉽게 해결하고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인 양자 컴퓨터.
꿈의 컴퓨터라 불리는 양자 컴퓨터는 과연 무엇일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Azz3jftZZCA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양자컴퓨터 #4차산업혁명 #컴퓨터 #양자역학 #YTN사이언스
꿈의 컴퓨터라 불리는 양자 컴퓨터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429144512995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대한민국이 현재 전 세계의 IT분야를 이끄는
IT강국이 될 수 있었던 데는 안병성 박사의 공이 크다.
그는 전자교환시스템을 위해 직접 컴퓨터도 개발했고,
사분할 교환기를 개발해 전화 통신을 훨씬 수월하게 바꾸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UJ3lbUcfEH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전자교환시스템 #컴퓨터 #계산기 #사분할교환기 #YTN사이언스
대한민국을 IT강국으로 만든 안병성 박사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20427153711177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