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칼럼

1255

세로는 '기둥, 표의 세로열'이란 의미로, 일반적으로 가로의 반대 개념인 수직으로 향한 것을 뜻하기도 하고, 신문에서 세로로 쓰여진 칼럼을 말하기도 한다.

5751

선사시대 생활 풍습이 담겨 있는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함정에 빠진 호랑이, 새끼를 밴 호랑이 등 총 14마리의 호랑이가 등장한다. 호랑이는 단군신화에도, 전래동화에도 등장한다.

8407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자주 먹는 음식은 무엇일까. ‘김치’ 혹은 ‘밥’일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커피’가 1위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표한 2013년 조사에 따르면 커피는 1주에 12.2회(1일 2잔정도), 배추김치는 11.9회 먹는다.

10987

만화영화에 나오는 마술사는 허공에다가 지팡이로 그림을 그리면 그대로 신기한 모양이 만들어졌다. 요즘 모형 비행기와 인공장기 등을 줄줄이 찍어내는 3D 프린터보다 훨씬 더 신기한 광경이었다. 그런데 만화영화의 마술이 요즘 현실로 등장하고 있다. 바로 3D펜이다.

6950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화성과 목성사이에서 있는 소행성대 중에서 크기가 큰 베스타(Vesta)와 세레스(Ceres)를 탐사하기위해 2007년 9월 27일 델타4 우주로켓으로 무게 1,250kg의 탐사선 돈(Dawn)을 발사하였다.

11930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역사에서 처음으로 흑인대통령이기도 하지만 처음으로 코딩을 한 대통령으로 남을 것 같다. 그는 2014년 Hour of Code 라는 기념행사에 참여하여 코딩을 배우는 학생들을 격려하며 코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12682

우주는 빅뱅으로 탄생하여 지금까지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류가 알게 된 것은 아직 100년도 되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이 한 가지 사실은 수천 년 동안 인류가 우주를 보아오던 관점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8157

지난번 칼럼에서는 <해리 포터>의 <버터 맥주>와 <철학자의 돌>이 과학적으로 가능한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번 칼럼에서는 <마법> 소설의 핵심인 <마법 주문>을 살펴보도록 하자.

6937

과학이 가진 힘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왜 사람들은 도덕의 문제나 정치에 관한 논쟁에서 자기와 상반된 견해를 가진 사람의 이야기를 좀처럼 수긍하지 않으려 하면서도 과학의 성과에 대해서는 선생님 말씀을 경청하는 어린아이 같은 나긋나긋한 마음을 가지게 되는 것일까?

11707

먼지폭풍이 불어 닥쳐 한치 앞이 안보이고 수건으로 창틈을 막아도 집안에는 온통 먼지투성이이며 사람들은 먼지로 인한 폐질환으로 콜록 거린다. 영화 인터스텔라 속 미래 지구의 모습이다. 그런데 이 장면은 영화적 상상력으로 꾸며낸 일이 아니라 과거 미국에서 실제 일어났던 일을 모티브로 만들어 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