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초전도

274

자가치유 특성으로 극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초전도 신소재 고성능의 초전도 특성을 가진 고엔트로피 합금* 초전도체* 박막*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박두선 교수, 정순길 연구교수(성균관대학교) 연구팀과 이종수 교수(경희대학교), 석재권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의 공동연구로 항공 우주 및 핵융합로 등의 극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자가치유* 고성능 고엔트로피 합금의 초전도체 박막을 제작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341

한승용 박사 연구팀은 초전도를 더 작고, 정확하고, 강력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초전도 기술이 소형화되면 초음속보다 더 빠른 무기를 만들 수 있고 MRI 같은 의료기기도 더 작아질 수 있다고 한다. ▶full영상: https://youtu.be/W-6pxQjMdd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초전도#자석#자기장#초전도자석 초전도 기술, 더 작고 강력하게!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10281607481429

426

작은 코일 47개를 쌓아 만든 자기공명장치. 의료장비보다 작지만 나노 크기의 아주 작은 약물 분자를 계산해서 영상화하고 약을 개발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고온 초전도 자석 핵자기공명장치에 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W-6pxQjMdd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초전도 #자석 #MRI #신약개발 YTN 사이언스 홍종현 (hjh1239@ytn.co.kr)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신약개발 MRI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10281549584643

334

전류를 손실 없이 보낸다? 초전도 자석에 대하여! #초전도자석#초전도#초전도코일#자석

354

한승용 박사 연구팀은 초전도 코일을 감고 있다. 이 코일을 균일하게 감아야 더 정확하고 높은 자기장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이 초전도 자석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고 초전도 자석이 무엇인지 함께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W-6pxQjMddo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초전도자석#초전도#초전도코일#코일#자석 초전도 코일을 감아서 만드는 초전도 자석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10211713295458

802

20세기 최고의 발견, 초전도 현상 교통·의료·연구 분야를 아울러 인류 문명에 가져온 혁신적인 변화. 미래 인류사회를 바꿀 핵심 신기술, 초전도 현상에 대해 알아본다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김창영 교수 <초전도 세계로의 초대>

1728

미국의 물리학자. J. 바딘, J. R. 슈리퍼와 함께 초전도(超傳導) 현상을 해명하는 이론(BCS이론)을 제창해 3명이 함께 197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533

프랑스의 물리학자, 1991년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361

도서관 속 과학강의 - 초전도 세계로의 초대

0

올 여름 폭염이 지속되면서 냉방기 사용에 따른 전력 사용량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고 한다. 가정용에만 적용되는 전기 요금 누진제의 적절성에 대한 인한 논란도 적지 않은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