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0

Whipple Museum of the History of Science

0

Royal Observatory, Greenwich

0

National Space Science Centre

0

Armagh Planetarium

0

이 연구원에서는 광학·전파·이론·관측 천문학과 함께 우주천문학 연구로 연구범위를 확대해가고 있으며 ‘우주에 대한 탐구’라는 순수과학적 측면에서의 연구뿐 아니라 우주 관련 기술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다. 주요활동은 ①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음력·양력, 일몰·출몰 시각, 표준시 결정 등 국가의 천문 업무 수행 ② 천문우주과학에 대한 종합적 관측 및 천문 현상 규명 ③ 첨단 관측시설의 운영 및 개발로 우주의 관측영역 확대 ④ 국내외 천문학자와의 공동연구 ⑤ 국가의 과학문화 발전을 위한 천문 정보 보급 등이다.

2251

태양계의 행성들과 그 너머의 광대한 우주에 대한 안내서『여기에서 무한 우주까지』. 천문학의 본고장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그리니치천문대가 추천하는 책이다. 저자 존 그리빈과 메리 그리빈 부부가 천문학에 관한 다양한 관심거리를 이야기한다. 별들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갈릴레오는 망원경으로 무엇을 보았는지 등과 같은 간단한 사실부터 우주에 가장자리가 있는지,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등과 같은 폭넓은 물음까지 다루고 있다. 어려운 개념들은 도표와 컬러 사진을 곁들여 이해를 도왔다.

1883

조선이 낳은 최고의 천문학자이자 실학자였던 홍대용의 일대기를 그린『누구나 세상의 중심이다』.

54465

지구 밖의 천체나 물질을 연구하는 학문. 천문학은 4,000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진 의학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학문의 하나이다.천문학은 긴 역사 속에서 꾸준히 그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오늘날에는 단순히 천문학이라는 하나의 학문 범주내에서 다루지 못하고, 다른 많은 학문과 밀접한 협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예컨대 별들의 대기를 연구하는 천체화학, 고분자로부터 보다 더 큰 생명의 기본이 되는 물질을 찾는 천체생물학 등의 분야까지 개척되고 있다.

1993

    천문학에 대해서 좀더 넓은 눈으로 볼 수 있게 설명한 책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있는 잘못된 상식을 바로 잡고 태양계 행성에 대한 설명과 그것들이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오는지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책에서는 보통 과학 교과서에는 볼 수 없는 다양한 물음을 던지고 거기에 대한 답변을 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고 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

9529

블랙홀(black hole)의 존재는 현대천문학과 현대물리학의 이론이 정확하다는 사실을 증명해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현대천문학의 별진화이론과 현대물리학의 일반상대성이론은 블랙홀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이런 이유로 블랙홀은 20세기 이후 10대 뉴스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리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