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에 관측하고 2019년에 발표한
세계 최초의 블랙홀의 영상 관측 뒤에는
수많은 노력이 숨어있다고 하는데,
그 중에는 한국천문연구원도 있다고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Zg7zdmnn9c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블랙홀 #한국천문연구원 #편광영상 #천문학 #YTN사이언스
한국도 참여한 세계 최초 블랙홀 관측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71646708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비록 과거에는 망원경같은 첨단 장비는 없었지만
우리 선조들은 천체 관측을 중요한 국가사업이라 여겨서
천문학 공부와 천체 관측을 열심히 했다고 한다.
동양의 별자리와 서양의 별자리는 다른 점이 꽤 많은데
어떻게 다른지, 어떤 재미있는 별자리가 있는지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mhi-Mx2It18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조선시대 #천체관측 #천문학 #별자리 #측간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325163609639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간의대는 조선 시대 때 사용했던 왕실 천문대이다.
경복궁 간의대 주변에 다양한 천문 기구들을 설치했다.
조선의 천문학은 세종 재위 기간 동안 세계적인 업적을 세웠다.
우리나라의 뛰어난 천문학에 대해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mhi-Mx2It18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간의대 #왕실천문대 #천문학 #조선천문학 # YTN사이언스
세계적인 수준의 조선 천문학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325163006624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과거 선조들이 천문 관측을 중요시했던 이유는
바로 농사를 잘 짓기 위해서다.
경주에 있는 유명한 신라시대 첨성대 말고도
고려시대에 천체관측을 위해 사용하던 첨성대가 있다고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mhi-Mx2It18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농사#일식#천체관측#천문학#첨성대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325161311366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역사에 기록된 우리나라의 수준 높은 천체 관련 기술.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천문학 연구를 잇고 있다.
우리나라 연구진이 NASA와 함께 제작하는 우주망원경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SBPwd0cXaT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천문학 #우주망원경 #일식 #월식
우리 기술로 개발한 우주망원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3111508122001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1989년부터 구상되었다.
10번이 넘는 리허설 끝에
2021년 12월 25일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다.
천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SBPwd0cXaT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 #제임스웹우주망원경 #허블우주망원경 #천문학 #우주망원경
최강 스펙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3111455185529
■손봉원 /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열 세 번째 주인공은 한국천문연구원의 손봉원 책임연구원이다.
방대한 질량으로 빛과 시간, 모든 것을
비틀어 버리는 미지의 공간 블랙홀.
한국천문연구원의 손봉원 전파천문학자는
오랫동안 블랙홀을 연구해 왔다.
그는 ETH 프로젝트의 한국 책임자이기도 하다.
EHT 프로젝트는 전 세계 6개 지역에 8개의 전파망원경을 설치하여
블랙홀을 공동관측하는 국제협력 프로젝트이다.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선 지구 크기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8개의 망원경을 모두 연결해 우주를 동시
관측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3년 전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M87’을 영상으로 관측해 세계 모두를 놀라게 한 바가 있다.
그는 여전히 블랙홀을 연구하고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최근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의
기하학적 구조를 뿌연 효과를 없애는 디 블러링 기술로
더욱 선명하게 밝히는 데 성공했다.
블랙홀의 실체를 증명한 현재.
블랙홀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생각하며,
그는 내일도 우주의 열쇠인 블랙홀을 연구한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블랙홀 #천문학 #우주과학기술 #브라보K사이언티스트 #YTN사이언스
블랙홀, 은하의 관계를 풀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203291037076748
올해의 기후변화?
농사는 풍년일까 흉년일까?
궁금한 건 모두 별들에게 물어봐~🌟
옛날 사람들에게도
천문학은 아주 중요한 학문이었다 💫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의 천문기기와
천문기술은 최고 수준이었다고~
그렇다면 선조들이
하늘을 읽는 방법은 무엇이었을까?
그들이 별을 관측했던 이유는? 🔭
이번 주는 별녀석들과 함께
우리나라의 고천문에 대해
알아보러 떠나본다. 렛츠 고잉~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과학영상 #우주 #천문학 #간의대
하늘에게 묻는다! 과거의 천문학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76&s_hcd=&key=202203181234245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