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단위

2387

관측천문학의 한 분야이다. 레이더의 반사파를 이용하여 달과 행성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결정하였고, 도플러이동을 이용하여 행성들의 자전주기와 자전축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었다. 행성탐사우주선, 인공위성이 레이더를 이용하여 추적된다.

958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으로 실제 천체에서 사건이 일어난 시각과 지구에서 관측된 시간의 차이

1230

광년은 주로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로, 빛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진행한 거리이다.

867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소요된 시간으로, 실제 천체에서 사건이 일어난 시각과 지구에서 관측된 시간의 차이를 말한다.

1529

광년은 주로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로, 빛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진행한 거리이다.

2184

연구소의 스콧 셰퍼드 교수 연구팀은 미국 천문학회 회의에서 태양으로부터 약 103 천문단위 거리, 즉 154억 km에서 새로운 왜소행성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997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거리로, 기호는 AU이다.

2907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길이 단위의 하나.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거리를 1천문단위(AU)라 하는데, 주로 태양계내의 천체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