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6

질소

35

암모니아와 요소의 해

41

우리 주변의 공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5061

기구가 뜨는 이유는 부력 때문이다. 이는 유명한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생각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다. 즉 공기가 가득 채워져있는 공간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있으면 가스의 무게보다 큰 부력이 작용하여 기구가 상승하는 (혹은 공기에 의해 떠오르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바탕해 1783년 프랑스의 몽골피에 형제는 최초로 기구를 사용하여 43km 정도의 거리를 여행할 수 있었다고 한다(고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소가스를 넣은 기구의 부력을 계산해보자. 기구의 체적을 100m 3 , 기구의 무게를 12kg, 수소가스의 무게를 8kg, 공기의 밀도를 0.0013g/cm 3 이라고 하면, ● 지상에서 기구에 작용하는 힘(부력) = 기구의 체적 × 지상에

3077

프랑스의 화학자ㆍ물리학자. 노르망디의 루앙 출생. 파리 빈민가에서 의사 생활을 하다가 화학에 흥미를 느껴 화학자 베르톨레의 조수가 되었다. 처음에는 주로 인이나 질소의 산소 화합물에 관해 연구하였고, 1813년 폭발성의 3염화질소(NCI₃) 합성하였다. 또한 산의 특질은 성분 중에 있는 수소에 있다고 말하여 산의 수소설을 최초로 주장하였다. 1819년에는 프티와 함께 연구하여, 13종의 고체 원소에 대한 그 비열과 원자량의 곱은 거의 일정하다는 '뒬롱-프티의 법칙'을 발견하였다. 그 후 이 법칙은 탄소ㆍ붕소 등을 제외하면 실온에서 성립되며, 저온에서는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밖에 굴절률의 측정, 기체 비열의 측정 등의 연구가 있다.

3049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공부한뒤 주로 자신의 집 실험실에서 연구하였다. 물리학에서는 자기,전기의 정전기력에 관한 기초 연구와 지구의비중 측정의 개념을 확립 하였고, 또한 숨은열,비열,열팽창,융해 등의 연구가 있다. 화학에서는 공기중의 산소를 제거하여 얻은 질소가 화학적으로 얻은 순수한 질소보다 무겁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밖에 수소의 발견, 자연수의 정밀한 분석 등의 업적이 있다. 그의 연구는 훗날 영국의 물리학자 맥스웰에 의하여 정리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