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학자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지질학자

128

오랜 지질 시대를 거치면서 다양한 광물자원이 매장되어있는 우리나라! 대한민국 광물자원 연구를 개척하고 지하자원 연구로 산업화에 기여! 동양 최초로 다이아몬드까지 발견한 박동길 박사의 이야기를 만나본다!

0

화성의 ‘지질학자’ 인사이트(InSight)호가 화성 지진(marsquake)일 가능성이 큰 희미한 진동을 처음으로 포착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인사이트 운영팀은 인사이트호가 지난 6일 SEIS 지진계로 희미한 지진 신호를 포착해 기록했다고 24일 발표했다

1974

캐나다의 지질학자. 캐나다 순상지(楯狀地) 남동부의 선캄브라아 대층(代層)의 지질조사를 하고 캐나다에서 지질도를 처음으로 작성했다.

2082

영국의 지질학자로, 《지질학원리》3권(1830∼1833)을 저술하였다. 이 책의 정식 표제인 《지질학의 여러 원리 – 지구 표면의 과거의 여러 변화를 현재 작용하고 있는 여러 원인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로도 알 수 있듯이 지구의 역사상의 변화에는 특별한 것은 없고, 현재와 똑같은 현상이 계속되었다고 주장하였다.

1306

독일의 지질학자ㆍ극지 탐험가. 1901년부터 1903년까지 독일의 남극 탐험대를 이끌고 현재 빌헬름 2세 연안으로 알려진 ‘가우스베르크’에 도착하였다. 가우스베르크는 빙하가 없는 화산의 정상을 가리키는 말로서 드리갈스키가 이름붙였으며, 이 발견은 그의 훌륭한 업적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1324

캐나다 태생의 미국 지질학자로, 연구 분야가 넓고 야외조사를 중시한 지질학자이다.

1499

미국의 광물학자. 미국의 지질에 관한 논문을 공표하고 지질도를 작성하였다. 수성설에 의거하여 다년간 미국의 선캄브리아대 지층과 그 위에 놓인 암석, 특히 석탄기의 지층을 연구하여...

1856

독수리자리의 a별. 고유명(固有名)은 알타이르. 빛의 밝기는 태양의 9배나 되고 광도는 0.9등성, 거리는 16광년, 스펙트럼은 주계열(主系列)의 A7형이다.

1332

프랑스 지질학자로, 프랑스 각지의 지질도(地質圖)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1110

영국의 지질학자, 에든버러 대학 교수, 1901년 지질조사 소장으로, 빙하학 및 인류학에 관한 새로운 학설을 많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