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34

우리나라의 지진은 2016년 이후 발생 횟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고 낮은 강도의 지진이지만 전국에서 지진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예측하지 못한 지진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스스로 어떻게 지켜야 할까?

41

오늘 새벽 4시 55분쯤 경북 경주에서 규모 4.0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지진은 올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99건의 지진 규모 가운데 두 번째로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82

어젯밤 충남 공주에서 규모 3.4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피해는 없었지만, 지진이 발생한 충남 인근에서는 건물이 앞뒤로 흔들릴 정도의 강한 진동이 감지됐습니다.

139

최근 동해에서 발생한 연속 지진이 과거 발생한 동해 지진과 같은 단층에서 발생한 것이라는 분석

103

경남 함안 인근 지역에서 오늘 오전 10시 37분쯤 규모 2.4의 지진이 발생

128

평소에는 일반 가방으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안전하게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한 가방으로 대변신

85

자연스러운 지구 활동이지만 인간에게 가장 두려운 자연재해, 화산과 지진! 화산과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83

필리핀의 대표적인 활화산인 마욘 화산에서 용암이 흘러내리기 시작했습니다.

91

강원도 동해시 인근 해상에서 규모 3.0 미만의 지진이 연속해서 발생한 가운데 규모 2.3 지진이 또 관측됐습니다. 기상청은 오늘(25일) 새벽 5시 3분,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 해역에서 규모 2.3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어젯밤(24일) 9시 41분과 50분에도 동해시 북동쪽 해역에서 규모 2.1의 지진과 규모 2.4 지진이 연달아 일어났습니다. 올해 들어 동해시 해역에서는 규모 2.0 이상 지진 5차례를 포함해 지진이 모두 16차례 발생했습니다. 기상청은 유사한 규모 지진이 연속해서 발생하는 것은 과거에도 있었던 현상이라면서,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98

지난 2월 6일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인한 지면 움직임이 지진 발생 9분 50초 만에 약 7천km 떨어진 우리나라에서도 관측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튀르키예 강진에 따른 지면 움직임인 지진동이 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국내 모든 광대역 관측소에서 감지됐으며, 우리나라에 최초로 도달한 P파는 지진 발생 약 9분 50초 뒤 백령도에서 관측됐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원은 또, 튀르키예 강진에 따른 지표변형을 확인하기 위해 위성자료를 분석한 결과, 동아나톨리안단층의 한 지점에서 약 6.6 m의 수평변위가 발생했으며, 이중 절반인 3.5 m는 단층선 상이 아닌 수백 m 이상의 단층주변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