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를 전달하는 매체의 변화는 곧 기술의 발전을 의미한다. 인쇄술의 발전과 이를 통한 신문의 등장, 소리로 정보를 들을 수 있는 라디오의 발달, 영상으로 콘텐츠를 확인하는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관련 기술이 진보하면서 미디어는 보다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의 최종 진화물은 어떤 모습일까. 아마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을 바탕으로 실제 현실을 완벽하게 재현하거나, 혹은 현실 자체를 뛰어넘는 새로운 경험마저 가능할지 모른다. 지난 27일 판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진행된 ‘실감(實感)토크: VR‧AR 현주소와 미래’ 포럼은 VR‧AR 기술의 현주소를 살펴 보고, 해당 기술이 만들어 갈 미래를 전망하는 자리였다.
M이론(M-Theory)으로 알려진 끈 이론의 통합 버전에 따르면 시공간은 우리가 경험하는 4차원이 아닌 11차원을 가진다. 이 11차원 중 7차원은 공간 안으로 아주 작게 말려있어 우리가 알아채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눈은 그 동안 3차원의 공간만을 인지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나머지 7차원의 공간을 우리가 직접 느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