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연구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중견연구

402

열 소비 없는 체거름 방식으로 석유화학공정 에너지 절감 기대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0.02 나노미터(nm) 수준 크기 차이의 기체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초미세기공 제어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종석 교수(서강대학교) 연구팀이 크기 차이가 0.02나노미터에 불과한 에틸렌/에탄 기체 분자를 체거름으로 분리 가능한 새로운 나노입자 Sogang ZIF-8(SZIF-8)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분리막 제작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266

내성균이 항생제 분해하여 세균 집단 내성 유발 국내연구진이 다제내성균* 치료 시 최후 처방 항생제로 사용되는 콜리스틴(Colistin)의 효과를 무력화하는 내성균의 기전을 발견해 다중미생물 감염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창준 교수(중앙대학교) 연구팀이 토양에서 분리한 병원균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가 콜리스틴 항생제를 분해하고, 다중미생물 감염 시 일반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원균까지 집단 내성*을 유발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510

NRF 기초연구 라이브 신병하 교수와의 인터뷰 1.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카이스트 신소재공학부에 근무하고 있는 신병하 교수입니다. 카이스트 부임 이전에는 IBM 왓슨 연구소에서 범용 무독성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는 'CZTS'라고 불리는 Cu2ZnSnS4 황하물 태양전지 연구를 하였습니다. 2014년 2월 카이스트 부임 이후에는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발광소자 다이오드, 칼코젠 및 질화물 기반 박막태양전지용 재료 개발, 광전기 화학 에너지 변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