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브라피시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제브라피시

124

제브라피시는 인간 유전자의 70% 이상을 갖고 있어 실험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제브라피시를 활용한 최강기업의 연구를 알아본다.

0

물고기도 사람처럼 잠을 잘까? 이 오래된 질문에 대한 답이 처음으로 나왔다.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보면, 얼룩말 줄무늬가 있는 열대어인 제브라피시(zebrafish)가 자는 것이 사람과 비슷하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1039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힘! 그 원천은 어디에서부터 나오는 걸까요? 국내 최고의 브레인들이 모여 있는 그곳! 바로 정부출연연구기관입니다. 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비중독성 수면유도제 2) 안전성평가연구소 : 간암 진단 바이오마커 : 제브라피시 활용 간독성 평가 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정전기력 촉각 피드백 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암 전이 억제제 : 노화성 근감소증 진단과 치료

1633

동물이 잠자는 동안 손상된 DNA가 수리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스라엘 연구팀은 실험용 동물로 자주 사용되는 제브라피시를 타임 랩스 영상 기법으로 관찰할 결과, 제브라피시가 자는 동안 신경세포 핵 안에 있는 염색체의 활동이 증가해, DNA의 손상이 수리된다고 밝혔습니다.

1350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김소희 교수팀은 제브라피시가 물 밖에서도 아가미 호흡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유연한 회로기판을 붙인 뒤 다채널의 뇌파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0

'바다의 용'이라고 불리는 해마(海馬)는 생김새가 특이한 생물이다. 실고깃과(科)에 속하는 물고기지만 배지느러미가 없고 머리 형태는 말과 비슷하며 마치 원숭이처럼 사물을 돌돌 감을 수 있는 꼬리를 가졌다. 심지어 수컷의 배에는 알을 부화시키고 새끼를 기르는 주머니(육아낭)까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