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

0

꿀벌 날갯짓 정전기가 모여 최대 1,000V의 전기 일으켜 전기 덕분에 우리는 어두운 곳에서 불을 밝히고, 지인과 온라인으로 소통도 한다. 하지만 인간이 전기를 활용하는 유일한 생명체인 것은 아니다. 곤충도 전기를 생존에 이용한다. 그런데 최근 곤충이 전기를 이용하는 것을 넘어 날씨에 영향을 줄 만큼 강한 전기를 발생시키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8011

원자, 분자, 이온 등의 물질 상호 간에 전하 이동이 일어날 때 전하를 주는 쪽을 주개, 즉 기증체(donor) 또는 전자 기증체라고 하며 전하를 받는 쪽을 받개, 수용체(acceptor) 또는 전하 수용체(전자 받개)라 한다.

9657

전위란 어떤 전하(+전하, -전하)를 한 지점까지 옮기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뜻한다. 산화·환원 반응은 전위차가 척도가 되는데, 그 기준은 수소 이온 농도가 1M인 용액에 담근 백금 전극 위에 1기압의 수소를 접촉시켜서 만든 수소 반쪽전지를 기준으로 하며, 이때의 전위를 0.00Volt로 정하였다.

20220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작은 힘의 하나로, 전기적으로 중성인 분자 사이에서 극히 근거리에서만 작용하는 약한 인력이다. 실제 기체의 상태방정식이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에서 벗어나게 되는 원인으로 반데르발스가 1873년에 도입한 힘

3227

어떤 주어진 입자에 대하여 물리적 속성인 질량, 수명이 같고 전하가 반대인 입자를 말하는 반입자(反粒子, antiparticle) 중의 하나인 반중성자는 중성자의 반입자

5945

둘 이상의 물체가 서로 반발하는 힘을 말하며, 척력(斥力)이라 불리기도 한다.

1535

극관의 그리드를 양전압, 양극을 0 또는 음전압으로 했을 때 발생하는 전기 진동.

2426

원자 또는 미소립자의 통과를 감시하는 장치.

6404

어떤 현상이나 물체를 설명하는 속성으로서, 그 속성을 숫자나 벡터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양.

2376

우주를 구성하는 여러 크기의 입자 중 하나이며 중성 입자의 그 크기는 작으며 전하는 존재하지 않고 질량도 가지고 있지 않다. 중성 미자 또는 뉴트리노라 불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