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소자

352

침염현상 이용해 재현성있는 코팅 공정 및 패터닝 방법 개발 액체금속이 복잡한 공정 없이 자발적으로 코팅되는 기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구형준 교수(제1저자 김지혜/김수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과 소주희 수석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웨어러블 전자소자의 전극물질로 사용되는 액체금속의 자발적이고 제어 가능한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272

생체모방형 전국의 표면 거칠기 조절로 체내 염증 반응 완화 실마리 국내 연구진이 이식형 전극의 표면 특성을 조절하여 의료용 전자기기의 체내 이식 시 발생할 수 있는 염증성 반응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방법을 구현하였습니다. ​ 한국연구재단은 이재영 교수(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이 생체모방형 폴리피롤*/헤파린*(Polypyrrole/Heparin) 생체전극의 표면 거칠기를 조절하여 염증 반응 완화와 장기 안정성 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고성능 생체전극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체내 이식용 생체전극은 심전도, 뇌전도 등의 각종 생체 신호를 기록하거나, 생체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건강상태 진단 및 질병치료 등에 사용되는 의료용 전자소자의 핵심 부분입니다.

598

울퉁불퉁한 표면에도 센서와 같은 고성능 전자소자를 붙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광주과학기술원, 지스트 연구팀은 화학접착제를 쓰지 않고도 표면이 고르지 않은 물체에 전자소자를 붙이는 '전자소자 전사 인쇄'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물속에서 짧은 털 구조의 '나노 섬모'가 장착된 전자소자와 물체를 가까이 접근시켜 서로 결합하도록 했습니다.

1908

종이에 불을 붙이면 순식간에 사라지면서 장미꽃이 나타나는 마술, 본 적 있을 겁니다. 이렇게 마술에 쓰이는 특수 종이를 이용해 기밀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흔적없이 없앨 수 있는 전자소자가 개발됐습니다.

1547

국내 연구팀이 딱딱한 유리 기판을 이용해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KAIST 박상희·이건재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해 기존의 딱딱한 유리 기판에 있는 전자소자를 분리해, 투명 유연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593

국내 연구진이 오징어 폐기물로 전자소자 제작에 사용되는 친환경 '투명종이'를 개발했습니다. 울산대학교 진정호 교수와 KAIST 배병수 교수 공동 연구팀은 오징어 내골격의 주성분인 '키틴'을 이용해 차세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작 등에 사용되는 '투명종이'를 제작했습니다.

1983

최신 IT 기기는 잘 휘어지면서도 성능에 변화가 없는 '웨어러블 기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동안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이황화몰리브덴을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우리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1957

인공 섬모구조를 이용해 접착력을 향상시켜 옷, 돌멩이 등에도 전자소재를 단단히 부착할 수 있는 전자섬유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0

나노소재(nanomaterials)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그것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오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상용화가 미진한 이유는 나노소재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확고하지 않기 때문이다. 같은 물질이라도 나노소재는 그 크기에 따라 특성이 다른데, 이 사이즈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확고해야 전자소자의 구성요소로서 응용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진다. 만약 나노소재의 크기 제어가 어렵다면 일정한 성능을 가진 전자소자를 양산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의 재료공학과(materials science engineering) 소속인 Hersam 교수는 나노소재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었는데, 그 방법은 사실 생명공학에서 비롯되었다.

0

실리콘은 전자산업에서 선택된 물질로 거의 경쟁물질이 없다. 이미 회로 내 전자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위치 가능 밸브들인 트랜지스터는 강력하면 소형이길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계속 축소화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