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220

치열한 배터리 전쟁에서 세계 최초 500mAh 전고체 전지를 개발했다. 돌돌 말거나 심지어 잘려도 작동이 잘 되는 전고체 전지의 특성을 이용한 배터리 혁신 기술 탄생을 살펴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wgCEvrEUDT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전고체전지 #배터리 #전지 #리튬 #전고체 전고체 전지의 특성을 이용하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9231545458379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61

화재위험성 없는 배터리 만들어지는 과정 #사이언스프렌즈 #배터리 #전고체 #ytn사이언스 #과학쇼츠

238

■ 김해진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과학연구본부장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서른 번째 주인공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분석과학연구본부의 김해진 본부장이다.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가 전력투구 하고 있는 지금. 차세대 배터리를 연구ㆍ개발해 치열한 각축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과학자가 있다. 바로 자르고, 구부리고, 접어도 작동하는 ‘전고체 전지’를 개발한 과학계의 에너자이저 김해진 박사이다. 스마트폰이나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는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거나 고온의 영향으로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 문제가 항상 꼬리표처럼 따라다닌다. 이를 해결하고자 김해진 박사는 전극 물질 합성부터 소재 분석까지 배터리의 모든 것을 연구하며 세계 최초 풀 셀 형태의 500mAh급 전고체 전지를 개발해 안전성, 용량, 전도성을 모두 높였다.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길이었기에 많은 어려움을 감내해야 했던 김해진 박사. 하지만 30여 년 동안 묵묵히 그 길을 걸어간 결과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 전지’의 선구자로 입지를 다지며 K-배터리 위상을 높였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배터리 #전고체 #전기 #전극 차세대 배터리의 비밀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20726091022719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불 속에서도 폭발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배터리가 개발됐다. 반복적으로 구부리거나 잘라도 성능을 유지하고, 프린팅 공정으로 쉽고 빠르게 만들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