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염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장염

134

[앵커] '식중독'하면 더워서 음식이 상하기 쉬운 여름철을 주로 생각하지만, 봄철에도 우리 곁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입니다. 오늘 '내 몸 보고서'에서는 봄철 식중독의 위험성을 알아보고, 원인과 예방법을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박민선 교수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인터뷰] 안녕하세요. [앵커] '식중독' 정말 익숙한 병명인데, 의학적으로 정확히 식중독이 무엇인지 설명을 좀 해주시죠. [인터뷰]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말합니다. '장염'이라는 용어는 소장이나 대장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하며 대부분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고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식중독과 비슷한 의미로 흔히 혼용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앵커] 그런데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이 다양할 거 같은데요. 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인터뷰] 식중독의 원인은 몸에 유해하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크게 미생물과 화학물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화학물질이란 독성화학물질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한 후 급성위장관 증세를 나타내는 질환을 뜻합니다.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은 세균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과 바이러스성 식중독으로 구분하고, 세균성 식중독은 세균의 독에 의한 독소형과 세균 자체로 인한 감염형으로 세분화 됩니다. 세균성 식중독은 식중독의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앵커] 그럼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중 세균성 식중독 말고 바이러스성 식중독도 있다고 하셨는데 바이러스 감염되는 경로는 어떻게 될까요? [인터뷰] 사람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바이러스로부터 감염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품이나 음용수를 섭취했을 때,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진 손으로 입을 만졌을 때, 질병이 있는 사람을 간호할 때 분변이나 구토물을 통해 또는 환자와 식품, 기구 등을 함께 사용했을 경우 등입니다. 최근 위생 관념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부패한 음식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보다는 바이러스성 식중독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손 씻기 등 개인위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127

지난겨울 굴 조리식품 섭취로 인한 식중독 의심신고가 직전 겨울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접수된 굴 요리로 인한 식중독 의심신고 건수가 542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말부터 2022년 초까지 같은 기간에 접수된 68건보다 8배가량 늘어난 것입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제품 포장에 '가열조리용' 등의 표시가 있으면 반드시 중심 온도 85도 이상으로 1분 이상 가열해서 섭취해야 합니다. 굴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지만, 겨울철 많이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고의 매개가 됩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2~48시간 잠복기를 거친 뒤 설사와 구토, 복통,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사흘 안에 증상이 호전되지만, 구토물과 배설물 등으로 주변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166

겨울에는 오히려 다른 계절보다 음식이 쉽게 상할 수 있다?겨울철 음식을 상하게 하는 복병은 무엇인지, 그리고 안전한 음식 보관법에 대해 알아보자. #장염 #겨울 #병 #음식

1213

아이들에게 설사를 일으키는 로타바이러스를 예방하는 장염 백신이 소아 당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나왔습니다. 미 미시간대 연구팀은 150만여 명을 대상으로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 여부와 소아 당뇨 발생을 분석했더니 이 백신을 세 차례 모두 맞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소아 당뇨 발병이 33% 낮았다고 밝혔습니다.

1823

경기도 광명 일대 초중고교 세 곳에서 학생 100여 명이 집단으로 설사와 구토 증세를 보여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주 들어 경기도 광명에 있는 광명서초등학교와 하안중학교, 명문고등학교에서 모두 168명이 장염 증세를 나타냈다고 밝혔습니다.

2339

고열과 구토, 설사 증세를 부르는 '로타 바이러스'가 올해 들어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6주 만에 환자가 3배로 늘어났는데요.

2097

'장염'이라고 하면 흔히 여름철 질병으로 알기 쉽지만 겨울에 더 극성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추위에 강한 바이러스 때문인데, 겨울철 위생 관리에 좀 더 신경 써야겠습니다.

1494

때 이른 더위가 찾아오면서 유행성 감염병도 덩달아 기승입니다. 특히 어린이 수족구병 환자가 지난 2주 사이 74%나 급증했다고 하는데요. 수족구병은 어떤 병이고 이 외 어린이가 조심해야 할 유행병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525

'장염'이라고 하면 보통 여름철 상한 음식을 먹고 걸리는 병으로 많이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장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추위에 강해 겨울철 장염 환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3040

겨울철에 장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인 로타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 때문인데요, 이 바이러스들은 적은 양으로도 감염되기 쉬워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