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183

지금 우리가 말하고 생각하는 온실효과는 현재와 인류 출현 전의 온실효과는 어떻게 다를지 지구의 46억 년을 하루로 생각하면서 지구에 일어났던 일을 생각해 보자.

105

대한민국 1호 국가정원이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로 10년 만에 다시 돌아온다. 순천만국가정원과 순천만습지를 포함해 도심까지 박람회장을 확대한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원에 삽니다'를 주제로 2023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장장 7달에 걸쳐 치러지는데 재해 시설인 저류지를 소통과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오천그린광장’ 아스팔트 도로를 광활한 잔디길로 만든 ‘그린아일랜드’ 정원 안에서 특별한 하룻밤 ‘가든스테이’ 맨발 걷기로 건강을 챙기는 ‘어싱길’ 국내 최초 강에 뜨는 정원 ‘물 위의 정원’ 등 다양한 테마를 가진 정원들이 선보일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생태 도시 순천으로 거듭난 지역민과 순천시의 노력이 더해져 자연, 생태 정원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야기와 함께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현장을 미리 만나본다.

211

해마다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없어지고 있습니다.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속도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있어서 벌어진 일인데요. 기후전문가들은 이 속도대로라면 2100년도에는 빙하 전체가 녹을 것이라는 무시무시한 경고문을 내놓았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삶의 터전을 잃는 건 비단 북극곰만의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 바로 빙하에 잠들어 있던 미지의 생물의 출현입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빙하가 녹으며 수 만 년 전부터 잠들어 있던 빙하 속 미생물과 바이러스가 인류를 위협할 거라 경고하고 있는데요.

258

아폴로 11호 발사 이후 60여년이 지난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우주 탐사선들은 우주의 경이로운 모습들을 지구로 보내고 있습니다. 광활하고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미지의 세계. 우주.

209

지구 곳곳에 일어나는 이상기후, 이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생명체들, 일부 학자들은 지구의 6차 대멸종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인류 주도로 만들어진 새로운 지질시대, 인류세 6차 대멸종과 인류세는 어떤 관계가 있을지 알아봅니다.

0

[세계는 지금] 가장 오래된 동물 DNA 해독…동물의 100만 년 역사 추가로 열어 코끼리가 물가에서 놀고, 토끼와 순록이 초원에서 뛰논다. 12월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표지를 장식한 이 그림은 200만 년 전 북극 그린란드를 그린 모습이다. 오래전 과거의 그린란드는 새하얀 빙하로 뒤덮인 지금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영국과 덴마크 공동 연구진은 그린란드 지층에서 채집한 토양 시료에서 환경유전자(environmental DNA)를 분석해, 200만 년 전 그린란드 생태계를 재구성했다. 이 연구는 인류 과학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DNA를 해독했다는 기록을 세웠다.

440

#대한민국과학축제 #과학 #리마인드사이언스 #송기원 #진화 #인류 #지구 🎥 [영상소개] 2022 대한민국과학축제를 빛낸 대표 과학강연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리마인드사이언스' 다섯 번째 강연! 📜 [내용소개] 종(種)으로서의 인류는 어떻게 지구 생명체의 진화 방향을 결정하는 새로운 존재로 진화하고 있는가 📺 [출연자] 연세대학교 송기원 교수

302

#대한민국과학축제 #과학 #리마인드사이언스 #장대익 #진화 #인류 #초사회적 🎥 [영상소개] 2022 대한민국과학축제를 빛낸 대표 과학강연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리마인드사이언스' 여섯 번째 강연! 📜 [내용소개] 초사회적 종의 미래 📺 [출연자] 서울대학교 장대익 교수

374

[영상소개]🎥 지구 온난화와 극지방의 관계를 통해 보는 기후변화와 인류의 대응 [내용소개]📜 주제와 관련된 중요한 질문과 답변을 대화하는 방식으로 풀어낸 다큐멘터리 [출연자]📺 극지연구소 김성중 본부장, 과학 커뮤니케이터 임소정 박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대원 박사, 서울대학교 강신철 과커

943

[팟빵] 과학으로 장난치는게 창피해? [시즌4] [17회] 여섯 번째 인류 대멸종에서 살아남기! 기후위기 속 인간의 역할은?(G. 이정모 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