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멸망

93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 2부.』 백두산 화산 폭발 시 국민행동요령 지진 조기 경보는 지진파 중 큰 피해를 유발하는 S파에 비해 약 1.7배 빠르게 전파되는 P파의 특성을 이용한 것인데요, 먼저 도착하는 P파를 분석하여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S파가 도달하기 전에 지진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경보하는 시스템입니다. 지진 조기경보가 중요한 이유는 이를 통해 큰 피해를 주는 S파가 도달하기 전 5초 정도의 시간적인 여유만 있어도 머리를 보호하거나 책상아래로 대피하는 행동이 가능해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29개 화산 활동에 대한 감시도 이루어집니다. 천리안 등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와 주변국의 화산 활동을 감시하고 화산 분화 시 화산 정보, 화산재 특보를 발령하게 됩니다. 1903년 마지막 분화가 있었던 백두산은 지난 2002년 백두산 천지 하구에서 한 달에 250 여 차례의 지진이 감지되어 다시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연구자들은 백두산 폭발이 한반도에 끼칠 위협으로 화산재의 위협, 백두산 천지 물로 인한 피해를 가장 주요한 위협으로 꼽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백두산 폭발은 한반도 전체를 넘어 전 세계에 막대한 피해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런 화산이나 지진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숙지하고 있어야 할 행동 요령..! 다큐S프라임에서 알아봅니다. == 2부 ==================================== 00:00 | 타이완 지진 00:45 | 타이완 지진 같은 날, 일본 오키나와 서쪽 해역 지진 01:06 | 타이완 지진 다음 날, 멕시코 규모 7.5 강진 01:57 | 연쇄 지진의 원인, 태평양 용광로 '불의 고리' 03:03 | 불의 고리에 따라 위치해 있는 화산, 450여 개 04:27 | 불의 고리에서 활발한 지각 활동이 일어나는 이유 05:26 | 불의 고리에서 발생한 역대급 지진 사례 07:00 | 한국의 지진 사례 07:48 | 한반도, 불의 고리로부터 안전할까? 10:34 | 한반도의 지진 원인 12:00 | 기상청 지진화산감시센터의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14:13 | 백두산의 화산 활동과 위협 15:07 | 화산재 낙하 시 국민행동요령 15:43 | 지진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 [1부] 백두산 화산 폭발 시 국민행동요령 ▶ https://youtu.be/9oOhtvaDJvE [풀영상] 과학자들의 경고, 인류 멸망 시나리오 ▶ https://youtu.be/fiAoacZEowQ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류멸망 #지진 #화산 #대재앙 #다큐멘터리 산업재해, 위기의 대한민국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11109170981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69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 1부.』 한반도 남부 지방의 작은 농촌 마을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병풍처럼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인 분지 한 가운데 눈과 밭 그리고 한적한 마을이 자리잡고 있는데요, 오목한 그릇 모양을 하고 있는 이 분지는 지름이 무려 8km에 달하는 '적중-초계 분지' 입니다. 평범해 보이는 이 농촌마을.. 알고 보면 약 5만 년 전 우주적 격변의 현장이었다고 밝혀졌습니다. 직경 200m 크기의 운석이 대기를 뚫고 떨어졌고 충격파로 바위는 녹고 산과 땅은 한 순간에 증발했습니다. 운석이 떨어진 곳을 기준으로 반경 50km 까지 초토화.. 200km까지 열폭풍이 몰아쳤습니다. 이 충돌로 인해 남부 지방 일대가 초토화되고 충청도, 경기도까지 강력한 열폭풍이 강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류를 위협하고 있는 소행성.. 과학자들이 찾아낸 지구 근접 소행성은 약 3만여 개라고 합니다. 2016년 유앤은 소행성 충돌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6월 30일을 국제 소행성의 날로 지정했고 과학자들도 소행성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내기 시작했는데요, 그 중 충돌 위험이 있는 소행성의 충격을 가해 경로를 바꾸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모아졌고 이 것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2022년 9월 26일 지구에서 1,100km 떨어진 목성 인근에서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인류 최초의 지구 방위 실험인 다트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실제 충돌하는 영상이 한국천문연구원의 망원경으로 포착이 되었습니다. 충돌 전 소행성의 표면을 찍은 영상도 공개되었는데요, 그 모습을 다큐S프라임에서 담아보았습니다. == 1부 ==================================== 00:00 | 인트로 01:13 | 과학자들이 경고하는 인류 멸망 시나리오 04:29 | 5만 년 전, 경남 합천에 떨어진 초대형 운석 09:17 | 경남 합천 운석 충돌의 결적인 증거 11:07 |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①, 소행성 충돌 13:38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아포피스 15:47 | 러시아 상공에 폭발한 500kt(킬로톤)의 소행성 17:48 | 국제 소행성의 날 18:28 | 인류 최초의 인류 방어 실험 19:37 | 인류 최초로 시도된 지구 방위 실험 '다트 프로젝트' 21:10 | 한국천문연구원 망원경에 포착된 다트 프로젝트 충돌 장면 23:00 | 한국의 우주 위험 대응을 위한 연구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류멸망 #대멸종 #소행성충돌 #대재앙 #다큐멘터리 산업재해, 위기의 대한민국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11109170981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