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인공위성

77

사이언스 탐험 단원들을 만나 지구탐험을 시작한 올리와 베리😃😸 우주를 배울 수 있는 곳! 🚀대한민국 우주기술이 전부 모인 나로우주센터에 올리 베리😃😸가 가보았는데요.

58

전체 로켓의 발사를 준비하는 과정부터 🚀로켓이 위성을 궤도에 투입하는 전체적인 기간 동안 모든 것을 전체 지휘 역할을 수행하는 🧑‍💻발사 지휘센터에 가보았습니다.😊

77

최근 달 남극에 최초로 탐사선을 안착시킨 인도가 이번에는 태양 주변을 돌며 태양 대기 등을 연구할 인공위성을 곧 발사할 예정입니다.

125

​우주 탐사를 위한 활동 ​   대상 : 초등학교 4학년 이상 (중학생 이상 권장) 모집정원 : 선착순 50명 참가비용 : 학생-1,000원, 성인–2,000원 신청일시 : 8월 23일(수) 10:00 ~ 장소 및 시간...

26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우주항공청의 설립방향, 기관별 역할, 조직 구성(안) 등을 담은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 방향」을 7월 27일(목) 발표

98

우주로 가는 관문인 나로우주센터에서는 발사체를 발사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까?

95

우리별 1호를 우주로 보낸 전통과 30년 역사를 간직한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에서 10번째 위성, 차세대 소형 위성 2호를 개발했다.

614

대한민국을 인공위성 및 통신 강국으로 이끈 선구자, 최순달!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개발의 주역이며, 인공위성 벤처기업을 국내 최초로 설립하는 등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에 헌신한 공학자입니다. 불가능에 도전한 과학자 최순달, 그의 위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287

■ 이윤우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우주광학팀 책임연구원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마흔 여덟 번째 주인공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우주광학팀의 이윤우 책임연구원이다. 인공위성 카메라의 눈 역할을 하는 우주용 광학 거울. 미국과 프랑스, 러시아 등 일부 국가만 보유하고 있는 광학 거울 기술은 전략물자에 포함되어 있어 기술이전이 엄격하게 제한된 탓에 국산화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런 우주 광학 분야에 도전장을 내민 과학자가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이윤우 박사가 바로 그 주인공. 지구에서 수백 km 떨어진 상공에 떠 있는 위성 카메라. 그 속에는 동그란 구면이 아닌 ‘비구면’ 광학 거울이 들어있다. 구면 거울은 상이 정확하지 않은 반면, 비구면 거울은 상을 선명하게 맺을 수 있는 특수한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이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광과학자 #우주용광학거울 #인공위성 #광학기술 우주용 광학 거울, 국산화에 성공하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394&hcd&key=20221129100213509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