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가위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유전자가위

24

2015년, 제1차 인간 유전자 편집 정상회담에서 유전자 편집 기술은 임신을 목적으로 한 인간배아 변경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성명을 냈다. 하지만, 2018년 중국에서는 유전자가 편집된 아기의 출생을 알려 세계를 놀라게 했다. 유전자 가위는 인류를 위한 이로운 기술임에 틀림없지만, 생명체를 다루는 기술이기 때문에 어떻게 쓰이는지가 중요하다.

25

식물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회사는 유전자 치료제 및 식물 기반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크리스퍼-카스 12 기술을 사용해 자체 개발한 항암제 신약 개발도 진행 중이다. 식물을 사용해서 유전자 가위로 교정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19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절단 효소에 따라 종류가 나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크리스퍼-카스 9이다. 크리스퍼-카스 9의 등장으로 인슐린을 생산하고, 코로나19에 반응하는 선천면역센서를 발견하는 등 표적 유전자 치료가 가능해졌다. 그렇다면, 크리스퍼-카스 9의 원리는 무엇일까?

16

유전자 변이로 인해 생기는 유전질환은 1만 가지 이상이다. 혈우병, 헌팅턴병 등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만 수백만 명이다. 유전자 가위 기술이 난치성 유전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까?

60

크리스퍼-카스 9은 큰 크기 때문에 체내 전달이 어려워 유전자 치료제로써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그런데, 신형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벤처 기업은 크리스퍼-카스 9보다 크기가 작고 효율은 그대로인 크리스퍼-카스 12f1을 개발하였다.

45

한국과학기술원 윤기준 교수는 줄기세포를 통한 인간의 뇌질환을 연구하고 있다. 이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끊어진 신경이나 호르몬 기관도 생성할 수 있다.

36

크리스퍼-카스 9은 혈우병 치료 등 생명공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모기로 인한 전염병 차단에도 크리스퍼-카스 9이 사용되고 있다.

40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품종을 유지하기 위해 근친 교배하는 과정에서 여러 유전질환이 발견되었다. 그중에서 고관절 이형성증은 성장할수록 다리가 짧아지고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인데, 기존에 이 유전질환은 치료할 수 없었지만 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김민규 교수팀은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치료에 성공했다.

84

GM 기술은 새로운 물질을 생산하거나 기능할 수 있도록 세포나 생물체의 유전물질을 변경시키는 기술이다. 이런 GM 기술을 이용해 GMO 식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GM과 유전자 가위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95

인류는 살면서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며 살아간다. 선천성 질병, 후천성 난치병, 불치병 등은 우리 몸의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에 인류는 1974년부터 비정상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치료를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2000년, 유전자 가위가 세상에 등장했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 가위란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