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기기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웨어러블기기

632

헬스케어 및 차세대 사용자 맞춤형 고성능 센서 구현 국내 연구진이 온도에 따라 풍선과 같이 팽창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 센서에 활용할 수 있는 불규칙한 마이크로 돔 구조 제작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박인규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조한철 박사(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팀의 공동연구로 3D 마이크로 구조 기반의 센서 표면 형태 제어 기술과 이를 압력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757

단순 구조 소자로 차세대 전원 공급장치 및 촉각 터치센서 활용 가능성 실마리 신축성 폴리염화비닐* 고분자 겔을 응용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구현하여, 정전기로부터 얻은 에너지로 위치와 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촉각센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주혁 교수 연구팀(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1저자 박효식 석박통합과정)이 배진우 교수 연구팀(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1저자 오승주 박사과정)과 협력하여 투명하고 신축성 있는 고분자 겔 단일층으로 구성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800

NRF 기초연구 라이브 고승환 교수와의 인터뷰 1.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응용나노열공학연구실을 지도하고 있는 고승환 교수입니다. 서울대학교는 2013년부터 부임했고 그전에는 카이스트 기계공학과에서 2009년부터 4년간 교수로 재직했었습니다. 관심 있는 연구분야는 나노물질 개발 및 저온 공정을 개발하여 다양한 차세대 전자기기들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대상 차세대 미래 전자기기로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플렉서블/스트레처블 전자기기, 투명 전자기기, 소프트 로봇, VR/AR 기기, 기능성 필터 등이 포함됩니다.

1563

미국 플로리다대 전기컴퓨터공학과 윤용규 교수 팀은 미국인 20%가 갖고 있어 치아 손상과 두통, 불면증을 유발하는 '이갈이'를 알려주는 '스마트 마우스 가드'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