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누리’가 합쳐진 이름으로,
달을 남김없이 누리고 오라는 의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대국민 명칭공모전을 거쳐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의 새로운 이름으로 “다누리”를 선정하고, 5월 23일(월)에 “달 탐사선 명칭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하였습니다.
인류의 새로운 눈이 되어 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현재 무엇을 하고 있을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발사부터 현재까지 진행된 사항들을 종합하고 앞으로 예정된 계획을 정리해본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시운전이 진행 중이다 미국 동부 표준시(EST)로 2022년 5월 5일, 미 항공 우주국(NASA)의 커뮤니케이션 담당자 타데우스 케사리(Thaddeus Cesari)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 James Webb Space Telescope) 팀이 JWST 우주 망원경의 열 안정성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한편 4가지 과학 장비의 시운전(commissioning) 역시 성공적으로 수행 중임을 밝혔다. 시운전은 총 17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17가지의 시운전이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JWST는 오랜 기다림 끝에 공식적인 첫 관측을 시작하게 된다. 참고로 미 항공 우주국에 따르면 시운전은 1~2개월 진행될 전망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진화하는 과학
그리고 과학의 발견으로 새롭게 탄생하는 기술
미래 혁신을 이끌 과학 기술 트렌드 따라잡기!
“2022년 과학 기술 현재를 말하다”
전쟁과 과학 기술
인터넷, 우주 기술 등 과학 진보의 발판이 된 전쟁
전쟁의 양상을 뒤바꾸는 새로운 기술의 등장
국가 안보를 지킬 핵심 과학 기술과 미래 전쟁 예측!
■ 손한별 /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군사전략연구센터장
전)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 실무장교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사이언스포럼 #전쟁 #과학기술 #인터넷 #우주
[2022년 과학 기술 현재를 말하다] 3부. 전쟁과 과학 기술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5&s_hcd=&key=202205091235482710
우주에서 조심해야 하는 것은 소행성 뿐만이 아니다.
인공 우주 물체 또한 조심해야 하고,
태양의 폭발인 플레어 현상 또한 조심해야 한다.
우주의 위험 요소에 대해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1ApUvtrhws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 #인공우주물체 #인공위성 #발사체 #태양 #플레어
YTN 사이언스 홍종현 (hjh1239@ytn.co.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4261356234078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우주 위험 물체로 소행성과 태양이 있다.
우주의 셀 수 없이 많은 소행성들을 감시하는 사람들을 만나본다.
또 태양의 흑점을 관측하여 태양의 활동을 감시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 Full 영상: https://youtu.be/1ApUvtrhws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소행성 #태양 #우주 #소행성감시
소행성과 태양을 감시하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4251726383403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1989년부터 구상되었다.
10번이 넘는 리허설 끝에
2021년 12월 25일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다.
천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SBPwd0cXaT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 #제임스웹우주망원경 #허블우주망원경 #천문학 #우주망원경
최강 스펙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3111455185529
왜 망원경을 우주로 띄워서 관측을 하는 걸까?
지구에서 관측하는 것과
우주에서 관측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왜 망원경을 우주에 띄우는 지에 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SBPwd0cXaT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우주망원경 #천체관측 #우주 #마젤란망원경 #광학망원경
왜 망원경을 우주로 띄울까?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213&key=202203111457288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