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탐사

0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가 손잡고 국내 최초로 소행성 탐사에 나선다. 24일 천문연에 따르면 지난달 11일 항우연과, 28일에는 국과연과 각각 근지구천체 탐사 연구개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맺었다. 세 기관은 2029년 4월 14일(한국시 기준) 지구에서 약 3만1천600㎞까지 접근하는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등 우주탐사 분야 발전과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226

사람이 가기 힘든 우주, 그렇다면 이 우주는 어떻게 탐사할까? 바로 우주 탐사용 로보를 이용한다. 이 로보에는 모두 인공지능이 탑재되어 있어 화성과 달을 탐사할 수 있다고 한다. ▶full영상: https://youtu.be/zSQMcQOP6Ig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공지능#빅데이터#AI#우주탐사#외계행성 YTN 사이언스 홍종현 (hjh1239@ytn.co.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5&key=202201271254099150

0

윤석열 당선인이 제20대 대통령으로 이끌 새 정부는 올해 6월로 예정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2차 발사를 주관한다. 5월 9일 취임과 새 정부 출범 후 얼마 되지 않아 열리는 대형 이벤트다. 지난해 10월 누리호 1차 발사는 '미완의 성공'에 그쳤지만 이번 2차 발사로 우주 강국을 향한 더 큰 도약을 이루길 과학기술계는 기대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맞아 미래 산업 육성을 이끌 정부조직 개편과 함께, 이동통신 품질 향상을 위한 투자 확대, 가계 통신비 인하 등이 새 정부의 과제로 꼽힌다.

270

지구와 달리 극한의 환경인 우주에서 사용될 원자력 전지. 따라서 진공상태, 극저온 등의 실험을 이어 나간다. 그렇다면 원자력 전지는 어떤 시험을 거치는지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KNLjRFkcVA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전지 #우주탐사 #진공체임버 원자력 전지, 극한의 우주 환경을 견뎌라!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12301401317932

343

■ 홍진태 /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위원소연구부 책임연구원 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자들의 연구와 삶을 들여다보며 그들을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아흔 여덟 번째 주인공! 홍진태 박사. 2030년 안에 우주로 발사될 한국의 달 탐사선! 이 탐사선이 안전하게 달에 도착하고 탐사하는데, 에너지원이 될 원자력 전지를 연구하는 홍진태 박사. 원자력 전지란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하면서 방출하는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태양과 바람 없이도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서 심해, 극지 및 우주탐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원자력 전지는 극한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충분한 양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우주탐사에 있어서 핵심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아직 낯설게 느껴지는 분야인 만큼 홍 박사가 처음 원자력 전지 개발을 시작했을 때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는데. 지금 한국의 달 탐사용 원자력 전지를 완성하기까지 그의 연구 이야기를 들여다보자. 한국 기술로 개발한 원자력 전지를 탑재한 탐사선이 달에 도착하는 그 날을 기대하고 있는 홍진태 박사. 그 꿈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기 위해 그의 연구는 오늘도 멈추지 않는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원자력전지 #달탐사 #연료전지 #우주탐사 #NASA 원자력 전지로 한국형 달 탐사를 꿈꾸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112141400133352

364

3단형 로켓 누리호~ 각 단은 무슨 역할을 할까??? #누리호 #로켓 #발사체 #우주탐사

534

지구 밖 넘어 어딘가. 우리와 비슷한 모습을 한 누군가 살고 있진 않을까? 우리 인류 이외에 문명을 가진 지적 생명체, 존재할까? 방대한 우주는 우리에게 그 비밀을 쉽게 내어주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인류는 끊임없이 묻고 고민해왔죠. 지구 밖 어딘가에 존재할지도 모를 생명체의 존재를 말입니다 우주 탐사를 시작한지 수십 년이 지난 지금, 세계 곳곳에서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증명해주는 장면들이 하나 둘 포착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외계생명체’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우리 인간처럼 걷고 말하고 생각하는 지적생명체를 말하는 걸까요? 아니면, 또 다른 형태의 무엇일까요? 빠르게 발전하는 우주기술이 머지않아 그들의 존재를 확인 시켜줄 수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를 높여주고 있지만,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습니다. 우주생명체에 관해 수천 년에 걸쳐 내려온 궁금증, 지금부터 그 실마리를 찾아가봅니다. #외게인 #UFO #외계생명체 #은하계 #우주탐사 UFO, 외계생명체의 진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13&s_hcd=&key=202110220906541842

282

누리호 발사! 오늘 발사의 성패와 상관없이 앞으로 5차례 더 발사될 예정이라고~ 과연 누리호의 운명은~?! #누리호 #우주탐사 #누리호발사 #달착륙 #우주

0

유인 우주탐사는 선진국의 전유물이었으나 한국도 위성개발과 국산 발사체 개발이 '21년 발사를 앞두고 있어, 이제는 우주개발 발전의 다음 단계인 우주탐사에 나서야 하며 그중 최고의 기술이 필요한 유인우주탐사에도 나서야 합니다. 세계적으로 미국 NASA를 중심으로 '20년대는 유인달탐사 Artemis 계획이 진행중이고, '30년대는 유인화성탐사가 계획되어 있는데, 한국도 반드시 참여하여 획기적인 우주기술 발전의 전기로 삼아야 합니다. 아울러 지구 재진입과 랑데뷰/도킹 기술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30년대에는 무인 우주비행기와 '40년대에는 유인우주비행기를 개발하여 우주공간을 한국이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