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의 법칙

5941

전기용어로, 전압과 전류의 특성이 '옴의 법칙'을 따르는 금속과 반도체와의 접촉을 말한다.

3469

중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옴의 법칙' 기억하시나요? 전압, 전류, 저항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전기학의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입니다. 1827년에 처음 발표된 이후 190년간 깨어지지 않았는데요. 국내 연구진이 '옴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

1476

독일의 물리학자 옴의 법칙을 발견하였다.

3962

독일의 물리학자로 옴의 법칙을 발견하였다.

0

스크롤바로 전기 회로의 저항과 전압을 바꾸어 보면서 전류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 보세요.

0

왜, 전구가 아닌 도선에 걸리는 전압은 `0`일까요?

32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59

전기회로에서 전압을 높일 때, 전류의 세기는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다.

3373

독일의 물리학자. 바이에른의 에를랑겐에서 태어나 에를랑겐 대학을 중퇴한 뒤 거의 독학으로 학위를 받았다. 1817년부터 1826년까지 퀼른의 김나지움(중고등학교)에서 수학과 물리를 가르치면서 이 곳에 실험 장치를 갖추어 놓고 전자기 실험에 몰두하였다. 1826년에는 베를린에서 1년간 전류와 저항, 전압 사이에 관계를 연구하여 '전류의 세기는 도선의 두 끝에 가해진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 는 옴의 법칙을 발견하였 다. 옴의 법칙의 중요한 부분들은 그가 1827년에 쓴 에 자세히 요약되어 있다. 그의 연구는 현재의 전기 이론과 그 응용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당시 학자들에게는 함수 관계를 이끌어내는 실험이나 연역적 수학 이론이 이해되지 못하여 퀼른의 교직에서조차 물러났다. 그의 업적은 뒤늦게 인정을 받아 1841년 영국 학계 최고의 영예인 코프리 상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독일의 학회에서도 그를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전기 저항을 나타내는 물리 단위인 옴(Ω)은 그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