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과

3117

액체 속에 존재하는 녹지 않는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여과하거나 선별하는 데 쓰이는 다공질 종이로, 여과지 또는 여지라고도 한다.

3506

거르기(여과)와 같은 것으로, 어떤 용매에 잘 녹는 물질과 잘 녹지 않는 물질을 성질 차이를 이용해서 분리하는 방법.

2100

여과라고도 한다.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액체만을 투과시킴으로써 고체와 액체를 분리시키는 조작이나 그 방법을 가리킨다.

1373

상수도 정화방식(淨化方式)의 하나. 여과지(濾過池) 내의 사층(砂層)에서 물을 여과하는 점에서는 완속여과(緩速濾過)와 비슷하지만 약품침전지(藥品沈澱池)와의 조합에서는 1일 100~150m의 속토로 여과시키므로 완속여과에 비해 같은 여과면적 · 여과시간에 30배 이상의 높은 능률로 여과시킬 수 있으나 세균의 제거는 기대할 수 없다.

1333

상수도 정화방식(淨化方式)의 하나. 여과지(濾過池) 내의 사층(砂層)에서 물을 여과하는 점에서는 완속여과(緩速濾過)와 비슷하지만 약품침전지(藥品沈澱池)와의 조합에서는 1일 100~150m의 속토로 여과시키므로 완속여과에 비해 같은 여과면적 · 여과시간에 30배 이상의 높은 능률로 여과시킬 수 있으나 세균의 제거는 기대할 수 없다.

3616

액체 속에 존재하는 녹지 않는 침전물이나 불순물을 여과하거나 선별하는 데 쓰이는 다공질 종이로, 여과지 또는 여지라고도 한다.

1636

거르기(여과)와 같은 것으로, 어떤 용매에 잘 녹는 물질과 잘 녹지 않는 물질을 성질 차이를 이용해서 분리하는 방법이다.

1414

여과라고도 한다.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액체만을 투과시킴으로써 고체와 액체를 분리시키는 조작이나 그 방법을 가리킨다.

1065

액체에 녹지 않는 불순물을 거를 때 사용하는 종이이다.

1432

단순히 여과라 함은 고체와 액체의 분리 조작만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