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에이즈

184

‘세계 에이즈의 날‘ 40주년을 막 지나고 있지만 HIV/에이즈와 닿아있는 여전한 인식은 두려움과 편견이다. 한 알의 약으로 치료는 물론 예방까지 가능하다는 점,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에선 전염 우려도 제로에 가깝다는 사실 등 너무나 기초적이지만 모르는 내용들을 특별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과한토크에서 알아보고 감염인과 더불어 사는 사회가 되도록한다. ========================================== 00:00 | INTRO 03:18 | 편견에 갇힌 채 별이 된 예술인들 05:45 | AIDS의 첫 발병 08:40 | 1980년대 전후 달라진 바이러스 환경 조건은 09:38 | 게이 커뮤니티 내에서 유행처럼 퍼져나간 HIV 10:20 | 대한민국은 왜 AIDS에 소극적일까? 12:09 | AIDS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 14:02 | HIV와 접목한 예술, 시작하게 된 계기 17:28 | 인식개선, 예방 등 다양한 HIV 관련 캠페인 18:49 | 국내 HIV 감염인 수 22:24 | HIV 검사 가이드(보건소 익명 검사) 21:31 | 혈액 검사 시 HIV 보균 검사는 필수? 22:56 | HIV와 AIDS란? 24:00 | HIV와 AIDS는 관리 가능한 만성질환이다? 27:07 | HIV 치료제의 부작용은 없을까? 28:37 | HIV는 모기로도 감염될 수 있다? 31:32 | HIV 감염인의 대한 차별은? 34:26 | 오염된 수혈을 받아 HIV에 감염된 라이언 화이트 37:35 | HIV • AIDS의 예방, 어떤 방법이 있을까? ========================================== #AIDS #HIV #에이즈 #교육 #YTN사이언스 편견에 갇힌 에이즈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475&hcd&key=20221202093356498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1980년대 초 미국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던 특이한 환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5명의 남자였는데 동성애자들이었고 원인불명의 폐렴을 앓고 있었다. 미국 의료계가 당황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인을 밝혀낸 곳은 프랑스였다.

1256

에이즈 바이러스는 돌연변이를 자주 일으키기 때문에 치료나 예방이 매우 어려운데요. 국제 공동 연구팀이 에이즈 백신을 만들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 올해 안에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1223

영국의 한 에이즈 환자가 줄기세포 이식 수술을 받은 후 에이즈가 완치된 것으로 보인다는 기사가 과학 전문 매체 '네이처'에 실렸습니다. 지난 2007년 독일 베를린에서 같은 방법으로 첫 완치 환자가 나온 지 10여 년 만에 두 번째 사례가 나오면서 에이즈 정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0

에이즈(HIV)에 저항성을 지닌 사람의 골수를 이식받은 환자가 1년 반 이상 증상이 없는 관해(remissionᆞ寬解)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상 두 번째로 ‘에이즈가 치료된’ 환자가 될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1193

21세기 흑사병으로 불리는 에이즈는 완치가 불가능한데요. 인간 세포에 숨어 지내며 끝까지 살아남는 이른바 '잠복 에이즈 바이러스' 때문입니다. 최근 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약이 개발돼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0

우리 몸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면 즉각 면역체계가 발동된다. 그러나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면역력을 잃어버리게 돼 에이즈(AIDS)에 걸리게 된다. 그동안 의료계는 이 치명적인 질병을 막기 위해 에이즈 항체(Anti-HIV)를 사용해왔다. 그리고 매년 수백만 명의 죽음을 막아왔다.

795

21세기 흑사병으로 불렸던 '에이즈'는 치료약은 있지만, 병을 예방하는 '백신' 개발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한 상탭니다. 해외 연구팀이 최근 에이즈 백신 후보 물질을 개발했는데 상용화 가능성이 커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1327

국내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에이즈 환자가 지난 10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인재근 의원이 질병관리본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에이즈 환자는 만3천여 명으로 2007년 5천3백여 명보다 2.6배 늘었습니다.

2769

미국 국립보건원과 글로벌제약사 사노피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진은 HIV를 무력화하는 새로운 항체를 개발했으며 동물실험에서 백신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