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롭토시스 세포사멸 표적 치료제 개발에 기여
생합성 필수대사체로 폐암, 대장암 등과 같은 암의 세포사멸을 조절할 수 있는 분자 기전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황철상, 이윤태 교수(포항공과대학교, 제1저자 응우옌 테 카 박사) 연구팀이 마치에프6* 단백질이 생합성*에 꼭 필요한 대사체*인 NADPH*를 직접 감지하고 주요 페롭토시스 유도 인자들의 분해를 조절함으로써 세포사멸을 제어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세포의 중요한 기관에 색을 입혀 관찰하는 공초점 현미경은
세포 간의 미치는 영향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어
생명 분야에 유용하다고 하는데...
함께 공초점 현미경의 원리를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dMgWS9K1zYI
#공초점
#현미경
#세포관찰
#암세포
#공초점현미경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60&key=202110141644166358
생활 속 유해 화학 물질편리함을 주는 동시에 건강을 위협하는 화학 물질
건강한 삶을 위한 생활 속 화학 물질 대처법은?
유해 화학 물질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 강상욱 /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과 교수
한국화학공학회 편집위원
한국공업화학회 LG젊은공업화학인상 수상(2021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수상(2020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2020년)
저서 '케미컬 라이프: 알아두면 쓸모 있는 생활 속 화학 이야기 '등
#유해화학물질 #발암물질 #면역세포 #암세포 #염색약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5&s_hcd=&key=202109060945544156
NSMF 단백질 발현 억제시켜 암세포 죽여
암세포가 복제 스트레스에도 끄떡 않고 빠르게 증식-복제하는 비밀이 곧 풀릴 전망이다. 세포 분열 중 발생하는 DNA 복제 스트레스 해소를 돕는 새로운 단백질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암세포에서 이 단백질이 부족해지자, 암세포가 죽었다. 이 원리를 이용한 새로운 항암제 개발의 기대감 또한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