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 Part 3

알고리즘

0

블록체인은 몇 년 전만 해도 분산형 원장(DLT)으로 정의되곤 했었다. DLT로 정의된 이유는 블록체인의 데이터 무결성 가치가 너무 많이 강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필자는 당시 블록체인을 DLT보다는 개인 간 정보 공유 플랫폼으로 정의했었다.

1111

자료 구조란 컴퓨터에서 처리할 자료를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구조화시키기 위한 방법 또는 학문을 의미한다.

1339

인간 두뇌와 비슷한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람의 두뇌를 모델로 설계된 컴퓨터 회로이다.

1253

예측불가능한 자연 현상을 이용하여 난수를 만들어 내는 것을 양자난수라고 한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붕괴하며 나오는 입자를 이용하거나 빛의 반사와 흡수를 이용해 난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1947

기계학습, 인지과학에서의 인공 신경망은 생물학의 신경망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이다.

945

알고리즘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좋은 프로그램인지를 선별하는 기준이 된다.

1131

송,수신자가 비밀키, 공개키라는 두 개의 상이한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다는 의미이다.

1189

문제의 분석과 처리 방법을 위한 알고리즘, 순서도 작성 등 일련의 작업으로 특정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컴퓨터 연산 기호나 의사 코드의 준비, 또는 연산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부호화는 일련의 명령을 코드화한 리스트를 말하기도 한다.

1881

2017년 1월 IBM은 향후 5년 내에 인간의 삶을 바꿔줄 5대 혁신 기술을 발표했다. 그 중 하나가 '매크로스코프를 통한 지구 복잡성 이해'이다. 매크로스코프란 지구 상의 모든 데이터를 종합하고 분석해 의미를 찾아내는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 시스템이다.

1279

인공지능(AI)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여러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알고리즘과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