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

523

낙동강 상류에 자리 잡은 아연 제련소. 오수와 폐수가 방류되는 우려가 있지만 이곳은 폐수를 방류하지 않고 물을 정화해 재사용한다고 한다. 물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고체는 폐기한다고 하는데 함께 아연 제련소의 오·폐수 무방류 시스템에 관해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9glZBP0--q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아연 #제련 #오수 #폐수 #무방류 #친환경 YTN 사이언스 홍종현 (hjh1239@ytn.co.kr)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111041550217792

6461

어떤 원소가 하나의 화합물로부터 유리되는 순간에 대단히 활발한 반응성을 나타내는 상태

5159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부분을 염다리·격막 등으로 분리시켜 놓음으로써 전자가 도선을 통해 이동하도록 만들어 놓은 장치로,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각 부분이 반쪽전지이다. 보통 구리와 아연으로 많이 사용된다.

4804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1차 전지로, 프랑스의 G. 르클랑제가 고안하여 르클랑제전지라고도 한다.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1차 전지. 1877년에 프랑스의 G. 르클랑제가 고안하여 르클랑제전지라고도...

0

인간은 여느 동물과 달리 뛰어난 지능을 갖고 있다. 인류는 어떻게 진화해 왔을까? 수백만 년 전에 호모 사피엔스가 영장류 무리로부터 갈라져 나왔다. 인류 진화 과정에서 바닷말(해조류)이 뇌 발달에 필수적인 영양분을 제공한 것이 분화의 계기가 되었다는 남덴마크대학교

2304

구리[銅]에 소량의 아연을 섞은 합금인데 황동의 일종으로, 아연의 함량이 20 % 이하이고 나머지는 구리로 되어 있다.

2033

독일의 화학자로, 방사능 연구초기(20세기 초)에 방사성 광물에서 라듐을 제조하여 세계의 모든 연구가들에게 공급했다. 방사성 물질이 내는 방사선이 자기장 내에서 음극선과 같은 방향으로 휘어지는...

2276

교육 시설에서 중금속이 검출돼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서울시 교육청이 모든 초등학교와 유치원 시설에 발암 물질이 있는지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1급 발암 물질인 석면이 포함된 천장 마감재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돼 반쪽 검사라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2230

합금의 결정구조에서 각 성분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결정격자이다.

1498

인류가 각종 발명의 결과물로 배출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 주범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신 카이스트 생명 화학 공학과 우성일 교수 연결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