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

106

2023년 6월 16일, 잠수정 타이탄이 침몰한 타이타닉호의 잔해를 관찰하기 위해 조종사 한 명과 승객 네 명을 태우고 캐나다 뉴펀들랜드섬을 출발한 후 동쪽으로 약 700km 정도 나아갔다. 타이탄은 약 2시간 반에 걸쳐 수심 4,000m의 심해까지 잠수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잠수가 시작되고 1시간 45분 만에 타이탄은 해수면에 있던 현장 수송선 폴라프린스호와 통신이 끊겼다.

49

심해 공학 수조에서 파도뿐만 아니라 바람, 조류가 있는 복합 해상 환경에서의 선박 운동 특성 평가 시험을 살펴본다.

76

일본 해저 8천336m에서 심해어가 촬영돼 가장 깊은 바닷속에서 발견된 물고기로 기록됐습니다. 로이터통신 등의 보도를 보면 앨런 제이미슨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교수가 이끈 연구진은 일본 남부 이즈-오스가와 해구 8천336m 깊이에서 꼼치류인 슈돌리파리스 벨예비(Pseudoliparis belyaevi)가 헤엄치는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기존 기록은 2017년 마리아나 해구 8천178m 깊이에서 발견된 심해어로, 이번엔 그보다 158m가량 깊은 곳에서 심해어가 포착된 것입니다. 연구진은 해당 심해어를 포획하지는 못했으나 8천22m 깊이에서 다른 표본들을 확보하는 데는 성공했습니다. 이 정도 깊이에서 물고기를 잡아 올린 것도 이번이 처음입니다.

427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 심해. 햇빛이 잘 들지 않아 광합성을 할 수 없다고 한다. 심해 속으로 더 깊이 내려갈수록 수압은 높아지고 수온은 낮아지는 비례와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심해에 숨겨진 수학에 대해 더 알아본다. ▶full영상: https://youtu.be/E7k3R3AfCOE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바다 #심해 #수심 #수압 심해 속 숨은 수학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099&key=202203041749252276

0

미국 미시간대학 연구진은 바다의 표층수에서 살다가 죽은 물고기의 사체가 세계 해양의 가장 깊은 곳까지 수은 오염을 진행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심해를 오염시키는 수은의 대부분은 석탄을 연료로 하는 화력발전소와 광산 작업장, 시멘트 공장, 소각장 등 인간의 활동에서 배출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1931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구에 사는 심해 새우의 몸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AFP 통신은 영국 뉴캐슬 대학 연구팀이 세계에서 가장 깊은 바다인 마리아나 해구와 페루-칠레 해구 등에서 채취한 새우 90마리를 분석한 결과 72%에 해당하는 65마리의 소화기관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됐다고 전했습니다.

0

이번 주말부터 탐험가, 해양학자, 엔지니어, 과학자 등으로 구성된 해저 탐사팀을 통해 바다 속 가장 깊은 곳 다섯 곳에 대한 해저 탐사가 시작된다.

1780

심층수는 일반적으로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 즉 심해에 있는 바닷물을 말하는데, 오염물질이 없는 맑은 물이다.

0

심해는 생물이 살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므로, 연안에 비해 생물 숫자가 훨씬 적다. 그렇지만 사막의 오아시스처럼 심해 열수분출공 주변은 동물들로 북적인다. 열수분출공은 심해 바닥에서 뜨거운 물이 솟아나오는 온천이다.

2549

최첨단 잠수정이 등장하면서 베일에 가려져 있던 심해 생명체들이 하나, 둘 정체를 드러내고 있는데요. 모양도 특이하지만 스스로 빛을 만들어 내는 능력도 뛰어납니다. 깊은 바닷속 어둠을 밝히는 화려한 생태계, 화면으로 만나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