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실험

19

누워있기만 해도 돈을 준다면 당신은 이 실험에 참여하시겠습니까?

44

박병국 교수는 다양하게 경험하고 실패하고 성장할 연구원들을 위해 사소한 것을 바꿔 새로운 시도를 하는 조언을 하였다.

49

과학에서 말하는 '발광'은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는데요 하나는 생물이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생물 발광 또 하나는 화학반응으로 방출되는 화확 발광이 있습니다. 영화 아바타의 감독 '제임스 카메론'은 심해 잠수 세계 신기록을 보유할 정도로 바다에 대한남다른 애정을 지녔다고 하는데요. 빛을 활용한 '아바타'의 아름다운 영상을 보면 빛을 발광하는 생물로부터 많은 영감을 얻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번 별별실험실에서는 이처럼 아름다움 빛을 내는 자체발광 생물에 대해 알아봅니다😄

44

전분물은 가만히 두었을 때는 액체처럼 보이지만 진동이나 외부의 힘을 받으면 고체처럼 단단해지는데요 이러한 현상을 점탄성이라고 해요. 점탄성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고체와 액체의 성질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진동을 주어 춤을 추는 전분물을 확인해보세요~! 여기에 더해서 우리의 발명왕 정디슨은 손 안대고 윷놀이 하기에 도전했는데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91

사람의 목소리로 유리잔을 깰 수 있을까요? 발명왕 정디슨이 직접 진행한 '목소리로 유리잔 깨기' 실험!! 실험의 핵심 키워드는 주파수와 공명인데요. 주파수는 물체 소리 주파수, 공명은 외부에서 전해진 진동수가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같아질 때 진폭이 더 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하시고 실험 결과를 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52

사람은 20Hz~20kHz 사이의 소리만 들을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높은 주파수 소리는 듣기 힘들어진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77

보통 휴지는 물에 넣으면 젖는다. 하지만 물에 넣어도 젖지 않는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그 방법과 원리를 살펴본다.

95

보통 풍선을 초에 올리면 터지게 된다. 하지만, 물풍선을 초에 올리면 터지지 않는다. 물풍선이 초에 터지지 않는 원리는 무엇일까?

80

제브라피시는 인간 유전자의 70% 이상을 갖고 있어 실험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제브라피시를 활용한 최강기업의 연구를 알아본다.

118

[과학 실험 톡 : 홈쇼핑에서 왜 실험이 나와?!] 홈쇼핑에 초대된 코브라 박사! 휴지부터 도서, 향초를 판매하게 됐는데.. 대본을 까먹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