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실크로드

114

북극의 얼음이 녹아내리고 있다. 북극 해빙의 면적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얇아지고 있다. 북극 얼음 바다가 녹는다면, 어떤 일이 생기는지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Tb_MuSBBU0E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북극 #해빙 #실크로드 #해수면상승 #북극한파 북극 바다를 덮고 있던 얼음이 사라진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mcd=0085&key=20220930164751402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008

동서양을 연결한 실크로드의 주역, 낙타! 낙타의 등에는 필요한 영양소가 저장돼 있어 오랜 기간 물 섭취 없이 이동할 수 있다고 한다. 또 낙타는 가시가 많은 선인장도 먹을 수 있다고 하는데... 함께 낙타의 모든 것! 지금 알아보시죠. ▶full영상: https://youtu.be/jf6l6TPVvcg #낙타 #실크로드 #동물 #선인장 #사막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59&key=202109021359568767

0

실크로드 지역의 역사와 인구 구성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분석이 나왔다. 국제협동연구팀은 700명 이상의 유라시아인에 대한 고고학과 역사, 언어학 및 유전학 데이터를 결합한 연구를 통해 동서로 길게 뻗은 이 지역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새롭게 구축했다.

0

고고학자들에게 아프가니스탄은 예외 지역이었다. 탈레반 반군과 카불 정부군 간의 전쟁이 계속 이어지면서 수도인 카불조차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 그러나 이처럼 불안한 상황에서 수천 개의 새로운 고대 유적들이 발견됐다.

0

독일의 지리학자 폰 리히트호펜은 현장을 직접 찾아가서 연구하는 관찰실험을 중시하는 학자였다. 그는 1868년부터 1872년까지 중국과 티베트 일대를 조사한 후 중국에서 중앙아시아를 경유하는 교역로를 통해 중국의 비단이 수출됐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0

실크로드는 알려진 것 보다 훨씬 오래전인 약 5,000년전에 조성됐다고 프라체티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했다. 목초지 조성 흐름을 정밀하게 분석해서 이같은 결론을 냈다.

0

지금으로부터 약 4천 년 전 인류 역사에서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다. 아카드의 왕이었던 사르곤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여러 도시국가들을 정복하고 통일국가를 수립한 것이다.

0

국립환경연구소 중국과학원지구화학연구소, 프랑스 CEREGE연구소는 중앙아시아 신강위그루자치구 우루무치시 근방의 이탄(peat) 퇴적물의 탄소안정동위체비의 기록으로부터 중앙아시아 동부 건조지대에서 하계 강수량을 과거 8,500년에 걸쳐 복원하였다. 그 결과 중앙아시아 동부의 하계 강수량은 동아시아 하계 몬순과 연동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하계 몬순이 이 지역에의 수증기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