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83

대한민국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황종성 원장을 만나본다.

0

조찬 모임, 동아리 등 8개 운영…핵심사업 연계 연구활동

0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위고)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과 ‘스마트시티 인덱스’ 사업에 관한 연구 협력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0

[지속가능성과 과학기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1 :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 도시는 안전한가? 포용적인가? 양질의 삶을 보장할 수 있는가? 이런 질문이 불편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도시 생활이 편리하고 익숙하여 간과하고 있는 이른바 ‘도시 발 문제’가 있다. 과밀한 인구 밀도, 크고 작은 사회문제, 과도한 에너지 소비, 대기·환경 오렴, 불평등 등이 대표적 문제다. 게다가 2년 전, 전 세계를 뒤덮은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 사례 중 90% 이상이 도시지역에서 발생했다. 도시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렇게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이런 문제에 노출된 것이다.

0

[사타가 간다] 도시의 미래와 공존하는 과학기술의 다양한 가치 모색 2022 세계과학문화포럼이 20~21일 양일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 포럼은 ‘과학, 도시의 미래를 잇다’를 주제로 국내외 연사 12인의 글로벌 강연과 TED 강연, 과학과 예술을 융합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433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솔루션 등 최신 ICT 기술이 접목된 차세대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시티 시장은 향후 2배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중 오늘은 일반 아파트를 중심으로 생활공간을 리모델링하는 기술이 있다고 하는데? ‘IoT 기술로 아파트 생활을 리모델링’하고 있는 오늘의 업체는 PC를 대체하는 안정적인 보드 형태의 ‘주차 시스템 차단기’를 만들고 있다 지상은 물론 지하 공간에서도 주행할 수 있게 될 자율 주행 자동차를 위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이용해 지하 정보를 취합하여 운전자와 자동차에 전달하는 ‘스마트 주차장을 개발 중’이라고! 아파트 생활 전반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입주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삶의 질을 높여주는 플랫폼을 개발한 ‘극찬기업’을 찾아가 보자! #아파트 #아파트리모델링 #IoT기술 #스마트시티 #인공지능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427&s_hcd=&key=202111230906121844

333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인 자율주행 기술! 완전 자동화를 위해 해결할 기술적, 사회적 문제는?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변화상과 대응 방안을 들어본다. ■ 서승우 /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 조민수 /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 서창호 /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 조기춘 / 건국대학교 스마트운행체공학과 교수 ■ 김성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 #자율주행 #인공지능 #협력운전 #스마트운행 #스마트시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5&s_hcd=&key=202110250918515425

0

세종시는 올해 605억원을 투입, 74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우선 다음 달부터 3개월 동안 스마트 헬스 키퍼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 뒤 정식으로 도입한다. 체성분 측정기와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기기 등을 설치한 '헬스케어 존', 맞춤형 건강 코칭과 건강 데이터 통합 관리를 지원하는 '똑똑 건강 앱' 등 서비스를 지원한다.

0

집을 나서는 순간부터 자신의 발걸음이 닿는 곳곳을 둘러본 적이 있는가. 모양과 쓰임은 각각 다르지만 집과 건물들은 정해진 위치에 놓여 있고, 사람이 걷는 길과 차도는 분리되어 있으며, 차들은 신호와 법규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또 사람들은 각자의 목적에 따라 교통수단을 선택하고, 교통수단은 사람들을 안전하게 이동시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도시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제 몫을 충실히 해냄으로써 비로소 살아 숨 쉬는, 그래서 흥미로운 장면들의 연속이다.

0

국가에서 추진하는 R&D 사업의 평가 단계에서 ‘표준’을 주요 지표로 관리하도록 명시하는 법률 개정안이 최근 국회를 통과했다. 명실공히 ‘표준’이 논문이나 특허처럼 국가 R&D 사업의 주요 성과 지표로 인정받게 됐다는 것이다. 이로써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그리고 빅데이터(Big Data) 등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기술들에 대해 국가적 표준을 적기에 마련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