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40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조율래, 이하 ‘창의재단’)은 세계 과학영재들의 두뇌올림픽이라 불리는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할 중·고교 학생들을 모집합니다.

0

[유럽의 STEM 교육][유럽의 과학교육]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0

과기정통부-美국토안보부 과기본부, 공동의향서 체결

0

[유럽의 STEM 교육][유럽의 과학교육] [유럽의 과학교육]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0

[유럽의 STEM 교육][유럽의 과학교육]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편

28

세계적인 수학자인 이임학 박사의 가장 큰 업적은 군론을 발견한 것이다. 이임학 박사는 자신이 발견한 군론을 리군이라 명명하고 수학계의 큰 화제가 되었다.

51

이임학 박사는 어린 시절부터 수학 천재로 두각을 나타냈다. 우연히 발견한 미국 수학회지의 미해결 난제들을 해결하며 해외 학술지에 한국인 최초로 게재된 수학자 이임학 박사의 이야기를 만나본다.

52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복잡해지고 거대해지는 세상! 불확실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수학이 찾아낸 불변의 법칙, 보편적 원리와 불확실성, 이를 활용한 딥러닝 기술까지 현실 세계의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수학과 과학의 역할을 알아본다

57

유클리드는 논리 수학의 시조로 기하학과 산술에 관한 '원론' 13권을 집필하였고, 연역 체계로서의 기하학을 처음으로 확립하였다. 아르키메데스는 응용 수학의 대부로 무한 개념을 이용한 구분구적법 창안하였으며, 적분의 기초를 이루는 방법 고안하였다.

76

"성적은 최하, 자부심은 최고" 1989년 미국 국제 수학 수행평가에서 한국은 1등을 하였고, 미국은 꼴등을 하였지만, 수학을 잘한다는 질문에 한국인은 23%만이 동의했지만, 미국인은 무려 68%가 동의하였다. 우리는 수를 잘 활용하는 수용자가 될 것인가 수포자가 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