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퍼박테리아

419

내성균이 항생제 분해하여 세균 집단 내성 유발 국내연구진이 다제내성균* 치료 시 최후 처방 항생제로 사용되는 콜리스틴(Colistin)의 효과를 무력화하는 내성균의 기전을 발견해 다중미생물 감염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차창준 교수(중앙대학교) 연구팀이 토양에서 분리한 병원균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가 콜리스틴 항생제를 분해하고, 다중미생물 감염 시 일반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원균까지 집단 내성*을 유발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1

항생제 내성 세균에 의한 감염 확산은 환자의 사망률 증가, 병원입원기간 연장, 의료비 증가 등 다양한 공중보건학적 문제를 유발한다”며 “임상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획득한 슈퍼박테리아가 출현, 확산됨으로써 감염증 치료약제의 선택 폭이 줄어들고 부적절한 치료를 유발하여 더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