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41

시간기록계를 이용하여 등속직선운동을 그래프로 설명할 수 있다.

4399

뉴턴은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이 등이 시작한 과학 혁명을 완성한 천재 과학자로, 우주의 움직임을 중력으로 설명한 과학자였다. 그래서 사람들은 뉴턴이 세상을 떠난 후에 이제 더 이상의 새로운 물리학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할 정도였다. 뉴턴은 고전 물리학에서는 물론,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속도, 가속도,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 빛의 분산과 합성 등등, 교과서에 들어 있는 뉴턴의 과학을 말하자면 끝이 없을 정도이다. 때문에 그의 과학을 모르고는 과학을 공부할 수 없을 것이다. 문제는 뉴턴의 과학이 아무리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이를 배우는 학생들이 어려워한다는 점이다.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함께 문제도 풀어보지만 돌아서면 마치 옛날이야기처럼 아득하게 멀어지는 느낌을 가지게 된다. 그 이유는 뉴턴의 과학을 교과서에서만 배우는 현실 때문일 것이다. 뉴턴의 과학이 얼마나 우리 생활 가까운 곳에 있는지 우리는 잘 모른다. 뉴턴의 과학을 가장 잘 찾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곳이 바로 학생들이 일 년에 한두 번씩 꼭 가는 놀이공원이다. 《놀이공원에서 만난 뉴턴》은 이런 청소년들의 야외 놀이문화 중심에 있는 놀이공원에서, 대표적인 놀이기구를 골라 그 속에 숨어 있는 과학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책의 주인공들은 놀이기구를 만들거나 타면서 다양한 경험들을 하게 되고, 이 에피소드들은 그와 비슷한 경험이 있는 독자들에게 과학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우리 삶 속에 꼭 필요한 것임을 깨닫게 해준다. 독자는 놀이기구를 탔던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