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소행성

13

블랙박스가 달린 전동킥보드가 있다?

33

국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통해 4,528개 소행성 표면의 구성 성분을 분류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연세대 공동 연구진은 그동안 소행성 성분 분석에 사용됐던 가시광 스펙트럼 기울기와 흡수 스펙트럼 이외에 스펙트럼의 넓이를 추가한 뒤 이 3가지 변수를 기계학습법으로 훈련해 소행성들의 개략적인 표면 성분을 새롭게 분류했다고 밝혔습니다. 천문연 문홍규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우주자원 탐사에 당장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지만, 해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기준에서 탈피해 독자적인 분류 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습니다.

0

천문연·연세대 연구팀 "100만개 넘는 소행성 정보 한눈에 파악"

0

[지구를 지켜라] DART 탐사선과의 충돌로 인해서 소행성 최소 1,000톤 이상의 질량을 잃어버려

39

■ PICK사이언스 지구 방어 프로젝트 '다트프로젝트' 성공 리포트 00:00 | 기사 / 영화 '돈 룩 업'과 소행성 지구 충돌 가능성 00:49 | 기사 / 소행성에 우주선 충돌 성공 01:47 | 취재파일 / 소행성 궤도 변경 실험 성공 이유

57

소행성에 우주선을 고의로 충돌시켜 이동 경로를 바꾼 인류 최초의 실험, 지난해 9월에 있었죠. 그 실험의 결과가 최종적으로 확인됐는데, 충돌로 인해 소행성 무게가 무려 천 톤이나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달된 충격이 예상보다 훨씬 큰 것으로 확인되면서, 지구 위협 소행성의 궤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 다시 한 번 입증됐습니다.

74

00:00 | 인트로 00:12 | 5위.. 유럽에서 포착된 소행성 02:16 | 4위.. 암 시계 되돌리는 기술 03:57 | 3위.. NASA, 전기 비행기 개발 05:50 | 2위.. 다누리가 촬영한 사진 07:37 | 1위.. 튀르키예 지진 영향, 한국 지하수 수위 상승

43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 지난해 미 나사는 우주선을 직접 소행성에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다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지구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은 약 2,300개로 추정됩니다. 소행성과 혜성 등 지구 위협 우주물체에 대한 정밀한 관측과 추적, 그리고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0

[JWST 발사부터 현재까지] JWST-MIRI가 본 소행성의 방사 측정, 크기, 거리 및 궤도

8

[JWST 발사부터 현재까지] 센타우루스군의 소행성체 10199 커리클로와 고리 관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