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충돌

17

■ PICK사이언스 지구 방어 프로젝트 '다트프로젝트' 성공 리포트 00:00 | 기사 / 영화 '돈 룩 업'과 소행성 지구 충돌 가능성 00:49 | 기사 / 소행성에 우주선 충돌 성공 01:47 | 취재파일 / 소행성 궤도 변경 실험 성공 이유

30

소행성에 우주선을 고의로 충돌시켜 이동 경로를 바꾼 인류 최초의 실험, 지난해 9월에 있었죠. 그 실험의 결과가 최종적으로 확인됐는데, 충돌로 인해 소행성 무게가 무려 천 톤이나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달된 충격이 예상보다 훨씬 큰 것으로 확인되면서, 지구 위협 소행성의 궤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 다시 한 번 입증됐습니다.

25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 지난해 미 나사는 우주선을 직접 소행성에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다트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지구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은 약 2,300개로 추정됩니다. 소행성과 혜성 등 지구 위협 우주물체에 대한 정밀한 관측과 추적, 그리고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57

UN에서는 6/30 국제 소행성의 날을 지정하는 등 소행성 충돌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과학자들도 소행성 충돌을 막기 위한 아이디어를 내기 시작하고, 그 아이디어는 현실이 되었다.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인류 최초의 지구 방위 실험이 시작된 것이다.

43

소행성 충돌은 지구 멸망 영화의 단골 소재로 등장할 정도로 지구인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이다. 소행성의 크기와 궤도에 따라 지구와 충돌할 때 위력이 달라진다. 지구 근처의 소행성은 크기가 작아 예측할 수...

32

한반도 남부 지방 농촌에는 분지 한가운데 마을과 논밭이 자리 잡고 있다. 평범해 보이는 이 농촌의 분지는 5만 년 전, 합천 지역에 거대한 운석이 떨어져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52

뉴욕 맨하탄에 떨어질 소행성 충동 대비 훈련 #뉴욕 #맨하탄 #소행성충돌

132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하여 지구와의 충돌을 막을 수 있을까? 실제로, 7~8년 정도 미리 궤도를 파악하여 작은 힘으로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나, 1~2년의 기간 동안에는 큰 에너지로도 궤도 변경은 불가능하다. 소행성의 궤도 변경이 불가능하고, 지구에 충돌할 시 모의 훈련 시나리오를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L-xw9OD9spI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소행성 #소행성충돌 #지구 #궤도 #우주 소행성의 궤도 변경이 실제로 가능할까?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_hotclip.php?mcd=0085&key=202210281647117992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124

소행성 충돌 대응체 지구 방위대가 하는 일 #소행성 #소행성충돌 #지구방위대

170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 1부.』 한반도 남부 지방의 작은 농촌 마을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병풍처럼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인 분지 한 가운데 눈과 밭 그리고 한적한 마을이 자리잡고 있는데요, 오목한 그릇 모양을 하고 있는 이 분지는 지름이 무려 8km에 달하는 '적중-초계 분지' 입니다. 평범해 보이는 이 농촌마을.. 알고 보면 약 5만 년 전 우주적 격변의 현장이었다고 밝혀졌습니다. 직경 200m 크기의 운석이 대기를 뚫고 떨어졌고 충격파로 바위는 녹고 산과 땅은 한 순간에 증발했습니다. 운석이 떨어진 곳을 기준으로 반경 50km 까지 초토화.. 200km까지 열폭풍이 몰아쳤습니다. 이 충돌로 인해 남부 지방 일대가 초토화되고 충청도, 경기도까지 강력한 열폭풍이 강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류를 위협하고 있는 소행성.. 과학자들이 찾아낸 지구 근접 소행성은 약 3만여 개라고 합니다. 2016년 유앤은 소행성 충돌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매년 6월 30일을 국제 소행성의 날로 지정했고 과학자들도 소행성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내기 시작했는데요, 그 중 충돌 위험이 있는 소행성의 충격을 가해 경로를 바꾸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모아졌고 이 것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2022년 9월 26일 지구에서 1,100km 떨어진 목성 인근에서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인류 최초의 지구 방위 실험인 다트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실제 충돌하는 영상이 한국천문연구원의 망원경으로 포착이 되었습니다. 충돌 전 소행성의 표면을 찍은 영상도 공개되었는데요, 그 모습을 다큐S프라임에서 담아보았습니다. == 1부 ==================================== 00:00 | 인트로 01:13 | 과학자들이 경고하는 인류 멸망 시나리오 04:29 | 5만 년 전, 경남 합천에 떨어진 초대형 운석 09:17 | 경남 합천 운석 충돌의 결적인 증거 11:07 | 인류를 위협하는 대재앙①, 소행성 충돌 13:38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아포피스 15:47 | 러시아 상공에 폭발한 500kt(킬로톤)의 소행성 17:48 | 국제 소행성의 날 18:28 | 인류 최초의 인류 방어 실험 19:37 | 인류 최초로 시도된 지구 방위 실험 '다트 프로젝트' 21:10 | 한국천문연구원 망원경에 포착된 다트 프로젝트 충돌 장면 23:00 | 한국의 우주 위험 대응을 위한 연구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인류멸망 #대멸종 #소행성충돌 #대재앙 #다큐멘터리 산업재해, 위기의 대한민국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213&hcd&key=202211110917098143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