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소부장

85

정부가 핵심광물 33종을 선정하고 현재 80% 이상인 리튬과 코발트, 흑연 등의 중국 의존도를 2030년까지 50%대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등 핵심광물 수요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수산화 리튬 84%, 수산화 코발트는 69%, 천연흑연은 72%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는 핵심광물의 처리·가공 공정이 중국에서 대부분 이뤄지고 있기 때문인데, 정부는 핵심광물 수요가 2040년에는 2020년에 비해 4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핵심광물 33종을 선정하고 매장량 등을 고려해 30개 전략협력국을 선정해 민간 기업의 광산 투자와 장기 공급계약 체결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364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소재·부품·장비 산업 불안한 대내외 환경 변화 속 공급망 안정을 위한 소부장 정책 기술 패권 경쟁 시대, 소부장 정책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략을 알아본다. ■ 전윤종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원장 ■ 임영목 / 산업부 R&D 전략기획단 MD ■ 권순기 / 경상국립대학교 총장 ■ 신희동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원장 ■ 황철주 / 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 00:00 | 인트로 00:59 | 소부장 산업 환경 및 이슈 10:00 | 소부장 정책의 성과와 한계점 12:47 | 새 정부 소부장 정책의 방향성은? 14:26 | 새로운 정책방향의 주안점 15:40 | 대학 관점에서의 소부장 정책 방향성 17:05 | 새 정부의 소부장 정책의 강조점 18:29 | 공통질문-앞으로의 소부장 정책은 어떻게?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사이언스포럼 #과학기술 #소부장 #반도체 #제조업 소부장 정책의 성과와 방향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5&hcd&key=20221128110710829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5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의 R&D 과제 지원을 통해 창출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성과를 영상으로 이해하기 쉽게 소개해 드립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AG5ZUqJwnx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소부장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개발 #기술 #YTN사이언스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나노·소재기술개발 사업을 맡을 8개 국가핵심소재연구단과 4개 미래기술연구실이 올해 신규 출범한다고 3일 밝혔다. 나노·소재기술개발 사업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세계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하는 과기정통부의 대표 사업이다. 올해부터는 연구개발 핵심품목 자립화를 위한 국가핵심소재연구단과, 미래 첨단소재 확보를 위한 소재분야 미래기술연구실 등으로 구분해 지원하고 있다.

0

소재, 부품, 장비의 국산화를 향한 기술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소재강국 실현을 향한 R&D 현황을 소개합니다.

0

외산장비에 의존하던 우리나라 실험실 속 연구장비! 연구장비 국산화를 통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진정한 자립과 경쟁력 강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