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0

산호초 소리로 해양유기물,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어

146

*이미지 클릭 시 해당영상으로 이동됩니다* 00:30 ■ 지구상에서 가장 정밀한 거울을 만드는 곳 ▶full영상 : • 한국... 04:30 ■ 디지털 재난 -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등장한 위협 ▶full영상...

219

전분물은 가만히 두었을 때는 액체처럼 보이지만 진동이나 외부의 힘을 받으면 고체처럼 단단해지는데요 이러한 현상을 점탄성이라고 해요. 점탄성은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고체와 액체의 성질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진동을 주어 춤을 추는 전분물을 확인해보세요~! 여기에 더해서 우리의 발명왕 정디슨은 손 안대고 윷놀이 하기에 도전했는데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387

소리는 공기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 소리의 힘을 유리잔을 활용해 느껴보자.

204

소리만으로 윷을 튀어올리게 해서 윷놀이를 할 수 있을까? 정디슨과 함께 실험을 통해 살펴본다.

214

사람의 목소리로 유리잔을 깰 수 있을까요? 발명왕 정디슨이 직접 진행한 '목소리로 유리잔 깨기' 실험!! 실험의 핵심 키워드는 주파수와 공명인데요. 주파수는 물체 소리 주파수, 공명은 외부에서 전해진 진동수가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같아질 때 진폭이 더 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하시고 실험 결과를 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169

사람은 20Hz~20kHz 사이의 소리만 들을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높은 주파수 소리는 듣기 힘들어진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218

소리의 근원은 물체의 진동이다. 소리는 물체에 진동이 발생하면 진동이 공기를 타고 귀에 도달하여 뇌가 인지한다. 소리의 개념을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소리 굽쇠로 소리의 개념을 살펴본다.

190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구조로 발생하는 특정 진동수가 있다. 소라 껍데기를 귀에 대면 특정 소리가 들리고, 치지도 않은 소리굽쇠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를 과학 실험을 통해 살펴본다.

252

발광이란? 발할 발(發), 빛 광(光), 말 그대로 ‘빛을 발한다’는 뜻이다. 과학에서의 발광은 어떤 현상인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