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군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세포군

2096

동물의 배(胚)가 발생할 때, 원구(原口)에서 배의 내부에 들어온 세포군으로, 내배엽으로 부터 된 중배엽을 가리킨다. 동물의 배(胚)가 발생할 때 원구(原口)에서 배의 내부로 접혀들어간 세포군. 넓은...

1559

동물의 배(胚)가 발생할 때, 원구(原口)에서 배의 내부에 들어온 세포군으로, 내배엽으로 부터 된 중배엽을 가리킨다.

0

미국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의 과학자들은 실험쥐에서 갈증을 조절하는 뇌 회로를 발견했다. 이 회로의 세포 하위군집에 스위치가 작동하면 실험쥐들은 즉각 충분히 수분을 섭취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물을 마시기 시작한다. 두 번째 세포군은 물을 마시려는 요구를 억제한다. 갈증을 규제하는 회로는 뇌활밑기관 (subfornical organ)이라 불리는 뇌부분에 위치해 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컬럼비아 대학 (Columbia University)의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연구원인 찰스 쥬커 (Charles Zuker)는 “SFO는 서로 상호작용하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완전한 균형을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에 물을 마셔야 하는 경우와 물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물을 마시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서 이 회로는 동물이 혈압유지와 전해질 균형과 세포밀도를 유지하도록 액체의 양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번 연구는 찰스 쥬커 실험팀의 박사후 연구원인 유키 오카(Yuki Oka)가 제1저자로서 학술지 <네이처>지에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