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주명

357

생물 교사 석주명은 늘 나비를 채집하러 다녀 까맣게 탄 피부 때문에 학생들로부터 까마귀 선생님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까마귀 선생님 석주명이 어쩌다 본격적인 곤충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을까? ======================================== ※ Full 영상 ▶ https://youtu.be/x_LYgJxL-v0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석주명 #나비 #곤충 #곤충학자 #YTN사이언스 나비 박사 석주명의 나비 연구 계기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185&key=20220509110118363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0

석주명 과학기술유공자 (국립과학박물관 전 동물학 부장, 2017년 지정) – 나비연구로 생물학에 민족성을 심은 ‘한국의 파브르’

1818

오늘은 한국의 생태학자인 나비연구가 석주명에 대해 알아볼까요? 나비 박사 석주명이 처음 나비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일본 동물학자들에 의해 한국의 나비는 844종이라 잘못 알려졌었습니다. 석주명은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니며 75만 마리 이상의 나비를 채집하고 연구했는데요. 그 결과 1940년 '조선산 나비 총 목록'이란 책으로 한국의 나비는 모두 248종임을 세계에 알릴 수 있었습니다. 그뿐 아니라 석주명은 나비들에게 시골 처녀 나비, 봄 처녀 나비 등 우리말 이름을 지어줬는데요, 참 예쁘죠? 오늘은 한국의 생태학자 석주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나비박사’ 석주명 선생(1908~1950·사진)은 일제강점기 상황에서도 우리 산과 들을 날아다니는 이들 나비에 우리말 이름을 붙여줬다. 그는 1947년 자신이 쓴 ‘조선나비이름 유래기’에서 한국에 사는 248종에 이르는 나비에 일본 이름 대신 우리 이름을 지어주고 그 기원을 소개했다.

4767

1940년 한국인 책 최초! 영국 왕립 아시아학회 도서관에 소장 석주명의 [한국산 나비 총목록] (A Synonymic List of Butterflies of Korea) 한국산 나비분류학을 정립한 석주명 (1908 ~ 1950) 순우리말 나비 이름을 짓고 백두에서 제주까지 분포도 작성 16만7847마리 배추흰나비의 앞날개 길이를 일일이 재 다른 종으로 보고된 20여 개 학명이 단순 개체변이에 불과함을 증명 '배추흰나비의 변이 연구' 잘못 기록된 921종의 한국산 나비 250여 종으로 통계 정리 생물학에 민족성을 심은 '나비박사' 석 주 명 (1908 ~ 1950) 위대한 과학기술인입니다.

8113

석주명과 김용관은 한국형 과학의 핵심 인물이다. 두 사람 모두 식민지 상활에서 조선의 과학기술의 위신을 세우려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