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미크로랍토르 화석에서 포유류 섭취 흔적 발견]새의 기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미크로랍토르의 골격 안에 작은 포유류의 발이 완벽하게 보존된 희귀 화석이 발견됐다. 그간 미크로랍토르는 물고기, 도마뱀, 나무 열매 등을 먹이로 섭취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포유류를 먹는 육식의 행태는 처음 확인된 것으로 관심을 모은다.

0

인간 활동으로 만들어지는 온실가스와 이로 인한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현재 인류의 가장 큰 과제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대책들이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로 인해 줄어들고 있는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각 지역별로 기후 변화가 각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1060

도시의 고층 건물 사이를 가로지르며 인간과의 공존을 꿈꾸는 새 인간의 서식지 확장으로 인해 새들의 서식지는 줄어들고 있는데... 갈 곳 잃은 새들은 과연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도시를 점령한 새들은 인간에게 그저 성가신 존재일 뿐일까? 새들의 공간을 파괴한 주범은 과연 누구인가! 새와 인간이 공존할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3063

대단히 흥미롭고 새로운 분야의 개척자인 저자가 각종 사진과 수려한 컬러 일러스트와 함께 흥미진진하게 정리한 『버드 브레인: 새대가리? 천만에! 조류의 지능에 대한 과학적 탐험』은 ‘새대가리’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떨쳐 버릴 수 있을 것이다.

2906

2012년 가디언, 인디펜던트, 선데이타임스 등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된 『새의 감각』을 집필해 이름을 알린 영국의 조류학자 팀 버케드는 40년에 걸친 새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번에는 자신의 관심 분야를 “알”이라는 주제로 확장시킨다.

2104

무분별하게 이뤄지는 개발로 인해 터전을 잃은 새들과 함께 공존하기 위해 방법을 찾아나가는 사람들과 도심 속에서 살아갈 방법을 터득하기 시작하는 새. 과연 인간과 새는 도심 속에서 함께 공존할 수 있을까?

3153

태평양 동부, 적도 바로 밑에 있는 화산섬의 무리. 에콰도르령으로 특이한 새와 파충류가 많이 서식하여 다윈의 진화론이 이 섬들을 탐험한 후에 나온 것이라 할 만큼 생물학상 중요한 구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