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에서도 수를 세는것에서 나아가서
간단한 사칙연산 계산을 했다고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구물갈족의 수 체계에서
수의 발전을 알아보고
선사시대때 사용한 분수의 개념도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J7HrqPzpaIA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수학 #사칙연산 #구물갈족 #분수 #숫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099&key=20220325162331351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이번 주 키워드는 ‘자동차’! ✨
자동차를 움직이려면 수학이 필수라고 하는데...
기원전 바퀴의 탄생부터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까지, 자동차 발전과 함께 한 수학!
자동차를 움직이려면 어떤 수학이 필요한지 만나보자! 💡
그리고 레이싱카를 🏎️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기회까지!
레이싱 카의 속도와 균형 속 숨겨진 수학 원리는 과연 무엇일까? 🏁
자동차 속 움직이는 수학을 알고 싶다면 [수다학]으로 놀러 오세요! 💯
#자동차 #자율주행 #마중 #레이싱카 #사칙연산
[움직이는 수학] 자동차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099&s_hcd=&key=202111081036596499
바그다드의 천문학자·수학자·영어의 알고리즘(al-gorithm)이라든가 대수학(alg-ebra)은 그의 저서에 기원을 두고 있다. 저서에는 ≪천문표≫ ≪인도숫자에 의한 계산법≫ ≪알 자브르와 왈므카바라의 계산의 서≫ ≪대지의 모양≫등이 있다. 앞의 2가지는 인도의 천문학, 10진법에 의 한 자리잡기 기수법과 그것을 쓴 사칙연산의 방법을 소개한 것이다. 이 기수법은 유럽을 거쳐서 우리나라에도 전해져, 인도·아라비아 숫자라 불리어 현재도 쓰이고 있다. 세번째는 대수학의 책인데, 알 자브르가 algebra로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