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838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연간 11조 원 규모, GDP의 0.7%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40∼50대에서 비만으로 인한 지출이 많아 당국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2046

체질량 지수 'BMI'라고 있잖아요. 자신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을 말하거든요. 예를 들어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이 키가 160cm라면 60 나누기 1.6 곱하기 1.6으로 나눈 값이에요. BMI 값이 25 이상이면 우리나라에서는 비만이라고 정의하고 있고요. 미국의 경우엔 30 이상이지만, 인종 간의 차이를 고려해 우리나라는 25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406

비만은 흡연 다음으로 암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도 높입니다. 그런데 최근 뚱뚱한 사람이 면역 항암제 치료 효과가 더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면역 항암제는 흑색종으로 죽음의 문턱까지 간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을 완치시킨 최신 항암제입니다.

0

같은 양의 당분을 섭취했는데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은 날씬하고, 어떤 사람은 살이 쪄 비만과 당뇨병을 고민하는 사례를 자주 볼 수 있다. 왜 그럴까? 이 궁금증을 유전학자들이 밝혀내고 있다. 21일 과학기술 전문 포털사이트 ‘ 유렉알러트(EurekAlert)’에 따르면 그동안 미국 보스톤 브리검 여성병원 연구진은 ‘SGLT1’이란 이름의 유전자 안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서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는 과정을 관찰해왔다.

2617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혈압, 포도당, 콜레스테롤, 몸무게를 정상치 범주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여의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미경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성인 293만 명을 대상으로 치매 발병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0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메디컬센터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의 안톤 웰스타인(Anton Wellstein)박사는 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생쥐실험을 하고 있었다. 이들이 선택한 후보물질은 천연 단백질이다. 그런데 웰스타인 박사팀은 실험에서 의외의 결과를 얻고 깜짝 놀랐다. 이 단백질이 생쥐의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강력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0

비만은 건강에 여러 가지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고혈압과 당뇨병 같은 대사질환이 첫 손가락에 꼽힌다. 유방암이나 대장암 같은 암도 주의해야 한다. 또 몸무게가 무겁다 보니 무릎 등 관절질환을 호소하는 이도 많다.

1685

흡연과 음주, 비만 등의 건강 위험요인으로 인한 진료비가 매년 늘어 한해 9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주요 건강 위험요인에 기인한 진료비 지출 규모는 2016년 8조9천여억 원으로, 2014년 7조2천여억 원보다 22.2% 증가했습니다.

0

출산에 관련된 속설 중 하나가 ‘제왕절개로 아이를 낳으면 좋지 않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단순 속설이 아닌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 생쥐를 대상으로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연구가 잇따라 나오고 있는 것. 특히 제왕절개로 낳은 생쥐는 뇌 발달에서 미숙한 점을 드러내면서 장내 미생물 균형도 무너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30

영국 보건당국이 '아동 비만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시판 중인 피자와 파이 등 즉석식품의 크기나 칼로리를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영국 언론에 따르면 영국 보건부는 새로운 칼로리 지침을 내고 식당이나 슈퍼에서 판매하는 피자는 928칼로리, 파이는 695칼로리를 넘지 않도록 제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