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0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식습관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자연식품보다 가공식품을 구입해 먹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가공식품을 제조하는 방식도 계속 발전해 최근 슈퍼마켓이나 식품점에는 첨단 기술로 제조된 ‘고도의 가공식품들(ultraprocessed foods)’이 진열장을 가득 채우고 있다.

0

오랜 세월 동안 인류의 고민은 먹을거리의 부족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비만이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비만의 기준은 인류 집단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체질량지수(BMI)가 25를 넘으면 보통 과체중으로 간주한다.

2072

백두산 화산이 폭발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천여 년 전인 946년입니다. 화산 분화지수로 보면 7에 해당하는데요, 지구 상에서 있었던 화산 폭발 중에 7의 규모로 일어난 게 모두 6번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여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역대 최대 규모의 폭발이었던 거죠.

0

다이어트에 도전한 사람들이 가장 참기 힘든 유혹 중 하나가 바로 야식이다. 야식을 자주 하는 증상을 가리켜 ‘야식증후군’이라 하는데, 사실 이 증상은 앨버트 스턴커드라는 미국 의사가 비만 환자를 관찰하던 중에 발견했다.

1120

최근 병적 비만이 20~30대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증가해 건강을 위협하고 삶의 질을 떨어트리고 있는데요. 병적 비만은 그 자체만으로 생명을 위협하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1214

비만해지면 갑상선암 발병위험이 15%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권혜미 교수팀은 2009년부터 4년 동안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천132만여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관찰됐다고 밝혔습니다.

918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연간 11조 원 규모, GDP의 0.7%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40∼50대에서 비만으로 인한 지출이 많아 당국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2244

체질량 지수 'BMI'라고 있잖아요. 자신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을 말하거든요. 예를 들어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이 키가 160cm라면 60 나누기 1.6 곱하기 1.6으로 나눈 값이에요. BMI 값이 25 이상이면 우리나라에서는 비만이라고 정의하고 있고요. 미국의 경우엔 30 이상이지만, 인종 간의 차이를 고려해 우리나라는 25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2510

비만은 흡연 다음으로 암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도 높입니다. 그런데 최근 뚱뚱한 사람이 면역 항암제 치료 효과가 더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면역 항암제는 흑색종으로 죽음의 문턱까지 간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을 완치시킨 최신 항암제입니다.

0

같은 양의 당분을 섭취했는데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은 날씬하고, 어떤 사람은 살이 쪄 비만과 당뇨병을 고민하는 사례를 자주 볼 수 있다. 왜 그럴까? 이 궁금증을 유전학자들이 밝혀내고 있다. 21일 과학기술 전문 포털사이트 ‘ 유렉알러트(EurekAlert)’에 따르면 그동안 미국 보스톤 브리검 여성병원 연구진은 ‘SGLT1’이란 이름의 유전자 안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서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는 과정을 관찰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