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30 ■ 건축 소재로 다시 태어난 폐플라스틱
▶full영상 : https://youtu.be/GldRTidfFgI
04:32 ■ 비행기가 날 수 있는 이유 🛫
▶full영상 : https://youtu.be/cTRA19adfNk
06:53 ■ 한국도 참여한 세계 최초 🌌 블랙홀 관측
▶full영상 : https://youtu.be/YZg7zdmnn9c
10:46 ■ 서울을 대표하는 10가지 색
▶full영상 : https://youtu.be/hsr-fEw-lUQ
13:51 ■ 상처를 치료하는 OLED 패치 🩹
▶full영상 : https://youtu.be/3SacUuQrrdk
16:21 ■ 군복에 사용되는 은폐색
▶full영상 : https://youtu.be/hsr-fEw-lUQ
20:33 ■ 우리나라의 💫 양자 기술은 어느 정도?
▶full영상 : https://youtu.be/Azz3jftZZCA
24:03 ■ 풍선 헬리콥터 만들기🚁
▶full영상 : https://youtu.be/nazWVK-ftI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과학영상 #폐플라스틱 #비행기 #블랙홀
건축 소재로 다시 태어난 폐플라스틱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33&s_hcd&key=20220607114938500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관측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블랙홀은
전파 간섭기술이 있기에 가능했다.
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이
간단한 실험으로 전파 간섭기술의 원리를 설명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Zg7zdmnn9c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손봉원박사 #블랙홀 #관측 #전파간섭기술 #파동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702259701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모든 은하 중심에 초대질량 블랙홀이
적어도 하나씩은 존재한다고 한다.
블랙홀에 대한 연구는 현재진행형이다.
아직 모르는 것 투성이인 블랙홀에 대해 알아본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Zg7zdmnn9c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블랙홀 #은하 #질량 #아인슈타인 #스티븐호킹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646218535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2017년에 관측하고 2019년에 발표한
세계 최초의 블랙홀의 영상 관측 뒤에는
수많은 노력이 숨어있다고 하는데,
그 중에는 한국천문연구원도 있다고 한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Zg7zdmnn9c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블랙홀 #한국천문연구원 #편광영상 #천문학 #YTN사이언스
한국도 참여한 세계 최초 블랙홀 관측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716467080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블랙홀 영상을 얻기 위해선 디블러링 기술이 필요한데
이 기술은 EHT 연구팀에서 개발했다고 한다.
이 기술 덕분에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블랙홀이
어떠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졌는지 밝혀낼 수 있었다.
========================================
※ Full 영상 ▶ https://youtu.be/YZg7zdmnn9c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블랙홀 #디블러링 #산란효과 #YTN사이언스
블랙홀 영상을 얻기 위한 디블러링 기술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204151653348504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3년 전, 인류 역사 최초로 블랙홀의 그림자가 공개되다 지난 2019년 4월 10일 (한국시간 4월 10일 오후 10시), EHT (Event Horizon Telescope) 팀은 인류 역사 최초로 지구에서 약 5,500만 광년 떨어진 M87 은하의 초대질량 블랙홀 M87*(* 표시는 블랙홀로 추정된다는 의미)의 가장자리 생김새를 공개했다.
우주환경연구센터에선 태양을 여러 파장으로 나눠서 관측한다.
왜 여러 파장으로 구분 지어서 관측할까?
그리고 왜 태양의 자기장을 관측하는 걸까?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
※ ▶ Full 영상: https://youtu.be/1ApUvtrhwsQ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태양 #자기장 #블랙홀 #반앨런대 #YTN사이언스
태양의 자기장을 관측하는 이유는?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476&key=202204261430137967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손봉원 /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대한민국을 이끌어간 과학계의 주역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응원하는 브라보 K-SCIENTIST
백 열 세 번째 주인공은 한국천문연구원의 손봉원 책임연구원이다.
방대한 질량으로 빛과 시간, 모든 것을
비틀어 버리는 미지의 공간 블랙홀.
한국천문연구원의 손봉원 전파천문학자는
오랫동안 블랙홀을 연구해 왔다.
그는 ETH 프로젝트의 한국 책임자이기도 하다.
EHT 프로젝트는 전 세계 6개 지역에 8개의 전파망원경을 설치하여
블랙홀을 공동관측하는 국제협력 프로젝트이다.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선 지구 크기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8개의 망원경을 모두 연결해 우주를 동시
관측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3년 전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M87’을 영상으로 관측해 세계 모두를 놀라게 한 바가 있다.
그는 여전히 블랙홀을 연구하고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최근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의
기하학적 구조를 뿌연 효과를 없애는 디 블러링 기술로
더욱 선명하게 밝히는 데 성공했다.
블랙홀의 실체를 증명한 현재.
블랙홀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생각하며,
그는 내일도 우주의 열쇠인 블랙홀을 연구한다.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블랙홀 #천문학 #우주과학기술 #브라보K사이언티스트 #YTN사이언스
블랙홀, 은하의 관계를 풀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394&s_hcd=&key=202203291037076748
한국천문연구원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초대질량 블랙홀로 알려진 '궁수자리 A 블랙홀'(Sgr A)의 구조가 거의 원형에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궁수자리 A 블랙홀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워 블랙홀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최적의 대상이다. 이 블랙홀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지구상 여러 전파망원경을 연결하는 VLBI(초장거리 전파간섭계) 기술을 적용, 망원경 사이 거리만큼 큰 구경을 가진 가상의 망원경을 만들었다.
천문 관측소의 망원경은 돔 안에 망원경을 넣어
불필요한 빛을 피해 별을 관측한다.
또 전파망원경을 사용하면 블랙홀도 관측할 수 있다.
특히 필터를 사용해 별을 관측하면
별빛의 파장에 따라 다양하게 별을 관측할 수 있다고 한다.
▶full영상: https://youtu.be/1hXfKVWkBxw
========================================
[YTN사이언스] 구독하기 ▶ https://bit.ly/3raTL0t
========================================
#YTN사이언스 #천문관측소 #망원경 #우주관측 #블랙홀
우주를 다양하게 관측하는 방법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12231500473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