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막

868

열 소비 없는 체거름 방식으로 석유화학공정 에너지 절감 기대 머리카락 두께 500만분의 1에 해당하는 0.02 나노미터(nm) 수준 크기 차이의 기체 분자를 분리할 수 있는 초미세기공 제어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종석 교수(서강대학교) 연구팀이 크기 차이가 0.02나노미터에 불과한 에틸렌/에탄 기체 분자를 체거름으로 분리 가능한 새로운 나노입자 Sogang ZIF-8(SZIF-8)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분리막 제작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675

물을 전기 분해해서 수소를 얻을 때 물과 수소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때 쓰이는 것인 분리막이다. 이 분리막을 판매하는 곳은 단 한 곳뿐이었으나 조원철 박사 연구팀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이 분리막을 개발했다. 이 분리막은 기존의 것보다 성능이 두 배나 높다고 하는데...! 이 분리막에 관해 함께 알아보자! ▶full영상: https://youtu.be/f4McnH5dyHY #수소분리막 #분리막 #수소 #전기분해 #산소 성능을 두 배 높인 분리막 개발 [#핫클립]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hotclip/view.php?s_mcd=1394&key=202110071610063891

0

그래핀을 산화시켜 만든 분리막으로 바닷물에서 소금을 제거하는 기술이 나왔다. 그래핀 분리막이 물 속에서 부풀어 오른 현상을 바로잡는데 성공했다고 맨체스터 대학 연구팀은 발표했다.

1699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휴대전화나 노트북, 태블릿PC 같은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안에 난연제인 '트리페닐 인산염'을 넣어 발화 위험을 낮추는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1696

국내 연구진이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가스로부터 높은 순도의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95% 이상 회수하는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가스에서 순수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분리·정제할 수 있는 분리막 기술을 개발해, 실증 실험시설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1724

한인 과학자가 이끄는 미국 연구팀이 바닷물을 걸러 담수를 얻듯, 석유에서 '페트병 재료'만 얻을 수 있는 '분리막'을 개발했습니다. 미 조지아 공대 고동연 박사팀은 새로 개발한 분리막을 이용해 열을 가하지 않고도 석유에서 '페트병의 재료'인 '파라자 일렌'만 꺼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2024

한 대학의 총장이면서 교수인 연구자가 있습니다. 얼마 전 선인장 원리에서 착안한 고온·저가습 연료전지분리막 기술을 개발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는데요. 오늘 탐구 인에선 연구하는 총장으로 유명한 한양대 이영무 총장 함께 하겠습니다.

1570

발전소나 제철소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분리막을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내는 기술입니다. 장치가 간편하면서도 에너지 비용이 적게 드는 기술로서 내구성이나 친환경적으로 매우 우수한 기술로 평가됩니다.

1364

삼투막 또는 반투막으로 불리는 분리막은 표면에 아주 미세한 구멍이 촘촘히 나 있으며,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액체 혹은 고체의 막이다